메뉴 건너뛰기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족이 책임질 수 없는 가난을 보여드립니다

<한겨레21> 부양의무제 폐지해야 하는 이유 다룬 만화 연재
소셜펀치에서 후원금 모금도

149250360606_20170419.jpg

부양의무자기준 폐지행동 제공

한국에서 생계 위협을 느끼는 이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혜택을 받으려면,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있어도 부양받을 수 없는 상황이어야만 한다. 부양의무자는 수급자의 부모와 자녀, 그들의 배우자다. 이는 시민의 생계 책임을 ‘국가’가 아닌 ‘가족’에게 떠넘기는 강력한 법적 장벽이다. 사위가 취업했다는 이유로 수급에서 탈락한 할머니가 정부기관 앞에서 항의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례에서 보듯 현재 한국 사회는 직계가족이라 해도 서로가 서로를 사적으로 책임질 수 없는 한계 상황에 놓여 있다.

<한겨레21>은 이번호(1158호)를 시작으로 빈곤 문제 해결과 복지 확대를 위해 모인 42개 사회·시민단체와 수급권자들이 만든 ‘부양의무자기준 폐지행동’(이하 폐지행동)과 함께 부양의무제 폐지 필요성을 알리는 만화 <들어봐, 나의 몫소리>를 총 4회에 걸쳐 연재한다.

서로를 책임질 수 없는 가족

폐지행동은 2017년 대선 기간 동안 후보들에게 부양의무제 폐지 공약을 요구하는 활동을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가 이 제도를 폐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이에 견줘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폐지행동이 보낸 질의서에 대한 답변에서 “부양의무자기준을 폐지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필요하지만 한꺼번에 없앨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부양의무자의 범위 축소 및 실질적 부양 능력을 감안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폐지행동은 “안 후보의 의견은 부양의무자기준을 남겨놓겠다는 의미로 사실상 부분적 폐지다. 지난 17년 동안 부양의무자기준 완화는 꾸준히 이뤄져왔지만 기초생활보장 수급률은 변화한 적이 없다. 이 때문에 부분적 폐지가 아닌 완전한 폐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폐지행동은 차기 정부에서 부양의무제 폐지는 물론 폐지 이후 그 시행을 둘러싼 감시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폐지행동은 이 제도의 문제점을 널리 알리기 위해 후원 캠페인도 벌인다. 사회운동을 위한 온라인 후원 플랫폼 ‘소셜펀치’를 통해 목표액 500만원에 도전한다. 후원금은 활동에 필요한 유인물·소책자 등의 인쇄비용과 부양의무제 폐지 입법 요구 활동 기금으로 사용된다. 이 제도로 인해 수급에서 탈락한 가구의 이의신청을 지원하는 데도 쓰일 예정이다. (후원함 주소 https://socialfunch.org/nobuyang)

윤애숙 빈곤사회연대 조직국장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제도인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부양의무자기준을 폐지하는 것은 ‘복지는 국가 책임’임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가난한 이들에 대한 책임을 사적 부양으로 넘기는 부양의무자기준이 폐지되면 국민의 삶이 위험에 빠졌을 때 이용해야 할 다른 사회제도의 장벽들도 덩달아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페지행동과 함께 기획하는 만화 <들어봐, 나의 몫소리> 첫 회에선 시설에서 독립해 새 삶을 꾸리려는 한 장애인의 이야기를 담았다. 실제 주인공 하상윤(45·뇌병변 1급)씨는 10살 때 가족에 의해 장애인 거주 시설로 보내진 뒤 27년 동안 오로지 ‘먹고 자는 것’밖에 허용되지 않는 삶을 살았다. 가족은 그 긴 시간 동안 하씨에게 한번도 연락하지 않았다. 2009년 37살의 하씨는 독립을 결심하고 기초생활보장수급을 신청하려 했지만 곧 장벽에 부딪혔다. 부양의무자로 지정된 아버지 때문이었다. 하씨의 아버지는 아들이 계속 시설에 거주하면 시설 사용료는 내줄 수 있지만, 시설에서 나오는 것만은 어떻게든 막아내겠다고 했다. 가족조차 ‘장애인은 시설에서 살 수밖에 없다’는 편견을 가진 탓이다.


27년 동안 한번도 연락하지 않았다

하씨는 정부에 이런 상황을 밝히며 ‘가족관계 단절’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그는 2009년 6월 기초생활보장수급도, 아버지의 지원도 받지 못한 채 시설에서 나와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공원에서 노숙했다. 지독하게 가난한 생활이 시작됐지만 그에겐 ‘감옥’ 같은 시설보다 차라리 노숙이 나았다. 이후 하씨는 장애인 임시주거 주택인 평원재와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주택에서 생활했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3월17일 시설에서 나온 지 8년 만에 ‘가족관계 단절’을 인정받아 기초생활보장수급으로 ‘진정한 독립’을 하게 됐다.

기초생활보장법 제5조 1항에 따르면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받을 수 없는 사람’은 수급권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제도 운영 과정에서 이 기준을 매우 보수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가족의 부양을 받을 수 없다고 소명해도 제도 보장을 받기가 어렵다. 마땅한 권리로서 수급권을 보장받기 위해 부양의무자기준 폐지가 시급한 이유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 [한겨레칼럼-홍은전] 재난을 묻다 file 노들센터 2017.06.16 344
113 번역 간과되기 쉬운 발달 장애인의 우울증, 어떻게 대처할까? 이상우_아기예수 2017.05.18 722
112 국내 항공사 장애인 이동권 보장 권고 수용 이상우_아기예수 2017.05.18 220
111 [한겨레21 - 들어봐, 나의 몫소리] 4. 싸움들 file 노들센터 2017.05.17 271
110 [한겨레21 - 들어봐, 나의 몫소리] 3. 뒷모습 file 노들센터 2017.05.17 289
109 [한겨레21 - 들어봐, 나의 몫소리] 2. 약속 file 노들센터 2017.05.16 186
108 [한겨레21 - 들어봐, 나의 몫소리] 1. 꽃구경 file 노들센터 2017.05.16 151
» [한겨레21 - 들어봐, 나의 몫소리] 가족이 책임질 수 없는 가난을 보여드립니다 file 노들센터 2017.05.16 240
106 [복지뉴스] '우리도 말하고 싶어요!'...서울시 의사소통권리지원센터 조례 제정 촉구 file 노들센터 2017.05.16 247
105 [경향신문_ 고병권의 묵묵] 지금은 일수공책을 쓸 때다 노들센터 2017.05.10 258
104 [복지뉴스] 희망원에서 우리 맘대로가 어디가 있나, 즈그가 하라면 했쟤 file 노들센터 2017.05.10 194
103 [복지뉴스] 부정수급 막겠다고 ‘복지 경찰’ 만든다? ‘복지 권리 박살날 것’ 노들센터 2017.05.10 234
102 [복지뉴스] 대선 사전투표 날, 장애인은 계단을 기어 올라가 투표했다 file 노들센터 2017.05.10 217
101 [한겨레칼럼-홍은전] 아직 아무것도 포기하지 않았다 file 노들센터 2017.05.03 207
100 [복지뉴스] 희망원 탈원 교육 자료, '탈원하다 다치면 휠체어 탄다' file 노들센터 2017.04.27 370
99 [인권뉴스] ‘동성애 반대한 문재인, 사과하라’ 성소수자 13명, 경찰에 강제 연행 file 노들센터 2017.04.27 285
98 [복지뉴스] 문재인·안철수 후보님, 이제 기초연금 30만 원 줬다 뺏으시려고요? file 노들센터 2017.04.27 179
97 [복지뉴스] 5월 시행되는 ‘정신건강증진법’ 대선 후보들 입장은? file 노들센터 2017.04.27 199
96 [한겨레 기고 박경석] 혁명의 시작 노들센터 2017.04.23 166
95 [인권뉴스] 육군, 동성애자 현역 군인 색출·처벌 의혹 노들센터 2017.04.14 1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