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o Attached Image

[서문] ‘시작’을 만들고 ‘다음’을 조직한 ‘전사들의 노래’

 

[기획연재] 장애해방운동가 생애기록 ‘전사들의 노래’

 

2001년 8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버스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버스 위에는 “장애인도 버스를 타고 싶다!”고 적힌 현수막이 펼쳐져 있고, 버스 창문에도 “장애인도 버스 타고 싶다”는 글자가 커다랗게 적혀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01년 8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버스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버스 위에는 “장애인도 버스를 타고 싶다!”고 적힌 현수막이 펼쳐져 있고, 버스 창문에도 “장애인도 버스 타고 싶다”는 글자가 커다랗게 적혀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00년대 들어 시민사회운동은 급격한 쇠퇴기에 접어들었지만, 2001년 장애인이동권 투쟁으로 시작된 ‘변혁적 장애인운동’은 지난 20년간 놀라운 성과를 거둬들였다. 이들은 ‘장애에 대한 사회적 개념’을 이야기하며, 장애인 차별의 원인은 ‘장애가 있는 신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있다’고 외쳤다. 즉, 휠체어 탄 사람이 버스를 타지 못하는 것은 그가 장애인이기 때문이 아니라, 휠체어 탄 사람도 탑승할 수 있는 저상버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사회의 문제이며, 장애인이 수용시설에 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살아갈 수 있는 복지서비스와 소득보장 정책 등 그 모든 것들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중증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평등하게 지역사회에서 한 사람의 존엄을 보장받으며 살아가기 위한 ‘그 모든 것들’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장애인운동은 이 사회의 기본값이 비장애인 중심사회라는 것을 일깨우며 사회의 기본값을 뒤흔드는 싸움을 해왔다.

그 싸움이 올해 20주년을 맞이했다. 여전히 충분하진 않지만 대부분의 지하철 역사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저상버스가 일부 도입됐다. 활동지원서비스와 장애인연금으로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는 장애인수용시설 전면 폐쇄를 외치는 탈시설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1년 장애인 활동가들이 사다리와 쇠사슬을 목에 걸고  지하철 철로를 점거하고 있다. 옆에는 카메라를 든 기자들이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01년 장애인 활동가들이 사다리와 쇠사슬을 목에 걸고  지하철 철로를 점거하고 있다. 옆에는 카메라를 든 기자들이 있다. ⓒ장애인이동권연대 

20년간의 놀라운 변화의 시작은, 대부분의 처음이 그러하듯 초라했다. 싸움을 시작할 어떠한 종잣돈도 없던 시절, 그들이 가진 것은 고작 ‘불구’로 낙인찍힌 몸뚱아리 하나였다. 돈도 ‘빽’도 없는, 불쌍하고 때로는 ‘병신’ 취급받던 이들은 지하철 철로를 점거하고, 장애인이 탈 수 없는 버스를 낚아채서 쇠사슬로 자신의 몸을 그곳에 묶었다. 점거는 지역사회에 존재하지 않던 ‘장애인의 자리’를 만들어내는 중증장애인들의 주된 싸움 방식 중 하나였다. 그들은 “권리들을 가질 권리”를 요구하며 배제와 차별의 근거가 됐던 불구의 몸, 바로 그 신체로 세상을 향해 싸움을 걸었다.

버스를 탈 수도, 식당에 밥 먹으러 갈 수도, 학교에 배우러 갈 수도 없는 것이 차별임을 깨닫고 문제제기를 한 사람, 장애가 있는 내가 문제가 아니라 장애가 있는 사람을 배제하는 사회가 문제임을 알아챈 사람, 이는 사회 전체를 바꾸는 일이었기에 나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내 곁의 사람들을 조직하여 함께 해야 하는 일임을 깨달은 사람. 그들이 ‘싸움의 시작’을 만들어냈다.

때론 시작을 하는 것, 그 ‘다음’을 만들어내는 것은 자연스러움이 아닌 의도된 사건이다. 그것은 의지와 결단, 우연이 겹쳐졌을 때야 가능하다. 비마이너가 올해 만난 여섯 명의 싸움꾼들(박길연, 박명애, 박김영희, 박경석, 노금호, 이규식)은 그러한 사건을 일으킨 자들이다.

왼쪽에서부터 노금호, 박길연, 박김영희, 박명애, 박경석, 이규식이 도로 위에 서 있다. 그림 훗한나 왼쪽에서부터 노금호, 박길연, 박김영희, 박명애, 박경석, 이규식이 도로 위에 서 있다. 그림 훗한나 

비마이너는 이제까지 주로 사건을 보도해왔으나, 이제 그 ‘사건을 일으켰던 사람들’의 삶을 쫓아가 보려 한다. 이 저항서사를 통해 기록되지 않음으로써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었던 소수자들의 삶과 장애인운동사를 기록하고, “차별받은 존재가 저항하는 존재가 되는 일”(홍은전, 『그냥, 사람』)을 이 사회의 기억으로 남기고자 한다.

인터뷰이는 지난 20년간 활동해온 장애인단체 대표단들을 중심으로 성별과 지역적 안배를 고려해 선정했다. 그러나 시간과 자원의 한계로 인해 충분히 많은 이들을 만나지 못했다. 우리는 장애인운동을 만드는 많은 훌륭한 활동가들을 알고 있다. 이 기록이 ‘다음’을 초대하는 시작이 되길 바란다.

이들은 결코 홀로 존재하지 않았다. 분명 그 자신이기에 가능했던 부분들도 있었으나, 수많은 실패와 이별, 절망 속에서도 버텨낼 수 있었던 것은 함께하는 ‘동지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노라고, 고백한다. 그렇기에 이것은 지난 시간을 함께했던 동지들과 만들어낸 빛나는 ‘우리의 기록’이기도 하다. 노래로 치자면, 아름다운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합창쯤 될까.

함께 함이란 다음을 만들어내는 행위이고, 이것은 나의 행위에 당신이 응답했을 때에야 가능했다. 휠체어를 굴리며, 때론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갈지자로 휘청이며, 비관하면서도 보다 나은 내일을 갈망했던 ‘전사들의 노래’를 시작한다.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을 지원받아 작성했습니다.


  1. No Image

    [비마이너] [서문] ‘시작’을 만들고 ‘다음’을 조직한 ‘전사들의 노래’

    [서문] ‘시작’을 만들고 ‘다음’을 조직한 ‘전사들의 노래’   [기획연재] 장애해방운동가 생애기록 ‘전사들의 노래’   2001년 8월 2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버스를 점거한 장애인 활동가들. 버스 위에는 “장애인도 버스를 타고 싶다!”고 적힌 현수막이 ...
    Date2021.12.29 Views309
    Read More
  2. No Image

    [비마이너]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60년 만에 폐지 아닌 ‘완화’… 현장 혼선 우려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60년 만에 폐지 아닌 ‘완화’… 현장 혼선 우려   10월부터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폐지 안 된 부양의무자 기준 ‘연 소득 1억 원 또는 재산 9억 원 초과’ 기준, “혼란 가중한 정부, 무책임해”   2020년 7월 3일, 박능후 전 ...
    Date2021.12.29 Views222
    Read More
  3. No Image

    [비마이너] 권리보장법·탈시설지원법 연내 제정 농성 200일… 1만인 서명운동 시작

    권리보장법·탈시설지원법 연내 제정 농성 200일… 1만인 서명운동 시작   농성 200일 됐지만 국회서 한 번도 논의 안 된 양대 법안 “10월까지 국감, 11월에 상임위서 논의돼야 연내 제정 가능” 한 달간 탈시설지원법 연내 제정 촉구하는 1만인 서명받는다   장...
    Date2021.12.29 Views231
    Read More
  4. No Image

    [비마이너] ‘고용하느니 돈 낸다’ 공공기관 장애인고용부담금 3년 사이 100억 원 증가

    ‘고용하느니 돈 낸다’ 공공기관 장애인고용부담금 3년 사이 100억 원 증가   전국 409곳 공공기관, 장애인 의무고용률 준수 안 해 2020년 장애인고용부담금, 2018년 대비 44.5% 증가   강은미 정의당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입수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
    Date2021.12.29 Views308
    Read More
  5. No Image

    [비마이너] 장애인 노동자 차별한 이마트가 ‘장애인고용 신뢰기업’?

    장애인 노동자 차별한 이마트가 ‘장애인고용 신뢰기업’?   척추장애인에게 허리 쓰는 검품파트 배치한 이마트 인권위는 시정 권고했지만, 법원은 “장애인 차별 아니다” 판단 장애계 “장애인 일할 수 없는 환경에서 노동강요는 명백한 장애인 차별” 장애인 노동...
    Date2021.12.29 Views171
    Read More
  6. No Image

    [비마이너] 경산 성락원 진상규명 못하는 사이, 공익신고자는 직무정지

    경산 성락원 진상규명 못하는 사이, 공익신고자는 직무정지   거주인 물고문, ‘단무지 조롱’ 밝혀진 경산 성락원 가해 직원은 그대로 성락원에… 공익신고자는 직무정지 공익신고자 “무책임한 관리자, 경산시가 성락원 사태 원인” 4차례 이뤄진 전수조사, 발달...
    Date2021.12.29 Views135
    Read More
  7. No Image

    [비마이너] 행정복지센터 10곳 중 7곳 ‘점자표기 없거나 있으나 마나’

    행정복지센터 10곳 중 7곳 ‘점자표기 없거나 있으나 마나’   행정복지센터의 203곳, 6903개 점자 편의시설 조사 점자표기 부적정·미설치한 행정복지센터 71%에 달해 BF인증 받았지만… 점자 제대로 표기한 곳은 44%에 불과 김예지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입수한 ...
    Date2021.12.29 Views133
    Read More
  8. No Image

    [비마이너] 40년 동정의 대상에서 마침내 ‘권리의 주체’로… 장애인권리보장법 발의

    40년 동정의 대상에서 마침내 ‘권리의 주체’로… 장애인권리보장법 발의 장애인, 복지의 수혜자 아니라 시민이자 권리의 주체 장애인등록제 폐지하고 장애의 사회적 개념 담겨 장애계 10년 투쟁의 성과… 권리보장법, 연내 제정 위해 힘 모은다   장애계의 오랜 ...
    Date2021.12.29 Views169
    Read More
  9. No Image

    [비마이너]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하는 ‘중앙통합지원센터’ 개소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하는 ‘중앙통합지원센터’ 개소   탈시설로드맵 업무 총괄할 중앙통합지원센터 문 열어 3년간 시설 4개소 ‘지역사회 전환 컨설팅’ 진행 지난 17일, 사전녹화에서 중앙장애인지역사회통합지원센터 현판식을 하는 모습. 왼쪽부터 강정배 센...
    Date2021.09.08 Views211
    Read More
  10. [비마이너] 복지부, 탈시설 시범사업 22억 원 편성… 내년도 예산안 발표

    복지부, 탈시설 시범사업 22억 원 편성… 내년도 예산안 발표   복지부, 내년도 예산안 96조 9,377억 원 편성… 올해대비 8.2% 증가  생계급여 부양의무자기준 완화 예산 반영돼 지난 8월 31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에...
    Date2021.09.08 Views148
    Read More
  11. [비마이너] 경기도, ‘장애인 탈시설·자립생활 권리 선언’ 이행 약속

    경기도, ‘장애인 탈시설·자립생활 권리 선언’ 이행 약속   이재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동등한 경기도 만들 것”    장애계 “장애인 인권 역사에 의미 있는 기점이며, 역사가 될 것” 환영 지난 3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열린 경기장애인차별...
    Date2021.09.08 Views170
    Read More
  12. [비마이너] 승강기 없는 2층이 백신 예약병원… ‘백신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승강기 없는 2층이 백신 예약병원… ‘백신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접근성 확보 안 돼 백신접종 포기하는 장애인들 백신 있으나 마나… 사각지대 놓인 장애인에게는 ‘산 넘어 산’ 장애계 요구에 ‘노력하겠다’ 해놓고 이행 않는 질병관리청 장애계 “중앙정부 ...
    Date2021.08.27 Views138
    Read More
  13. [비마이너] 성락원 ‘물고문’ 긴급구제 외면한 인권위, 피해자는 또 학대 당해

    성락원 ‘물고문’ 긴급구제 외면한 인권위, 피해자는 또 학대 당해 시설 직원, 화장실에서 ‘거주인 물고문’… 피해 장애인은 “죄송해요” 절규 전수조사 중에 거주인 입에 단무지 쑤셔 넣으며 “짬밥 처리” 조롱 인권위 긴급구제 외면… 피해자는 여전히 가해자들과...
    Date2021.08.27 Views184
    Read More
  14. [비마이너] 천주교, 탈시설 부정하며 ‘시설 지키기’ 나서나… 장애계 ‘우려’ 표해

    천주교, 탈시설 부정하며 ‘시설 지키기’ 나서나… 장애계 ‘우려’ 표해   정부 탈시설로드맵 관련 토론회 연 천주교 사회복지위원회 ‘탈시설’ 용어 사용 부정하면서 ‘시설 폐쇄=주거 선택권 침해’ 주장 장애계, 장애인 권리보다 거주시설 우선시하는 천주교에 깊...
    Date2021.08.27 Views171
    Read More
  15. [비마이너] “시설 폐쇄하고 지역에서 살자!” 장애계 ‘양대법안 제정연대’ 출범

     “시설 폐쇄하고 지역에서 살자!” 장애계 ‘양대법안 제정연대’ 출범   292개 시민단체 모여 ‘장애인권리보장법·탈시설지원법 제정연대’ 출범 김부겸 국무총리, 탈시설로드맵 전면 검토? 장애부모와 이간질하는 정부 반복되는 장애인 학대 ‘솜방망이 처벌’, 양...
    Date2021.08.24 Views121
    Read More
  16. [비마이너] 기획연재 - 탈시설, 계속해보겠습니다 – 향유의집 폐지가 남긴 숙제 ④ 탈시설을 둘러싼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82년생 발달장애인 최아람의 탈시설이야기'

    82년생 발달장애인 최아람의 탈시설이야기   향유의집 내 구름다리. 사진 오른쪽 앞에는 짐수레로 개조한 수동휠체어가 있으며 등받이 쪽에 ‘121호’라고 적혀 있다. 짐수레 앞에는 전동휠체어가 어렴풋이 보인다. 사진 가운데 소실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
    Date2021.08.20 Views239
    Read More
  17. [비마이너] 기획연재 - 탈시설, 계속해보겠습니다 - 향유의집 폐지가 남긴 숙제 ③ 민간에 맡겨진 고용승계 책임 '고용승계 38%, 향유의집 시설폐지의 그늘'

    고용승계 38%, 향유의집 시설폐지의 그늘   향유의집 내 구름다리. 사진 오른쪽 앞에는 짐수레로 개조한 수동휠체어가 있으며 등받이 쪽에 ‘121호’라고 적혀 있다. 짐수레 앞에는 전동휠체어가 어렴풋이 보인다. 사진 가운데 소실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Date2021.08.19 Views292
    Read More
  18. [비마이너] 기획연재 - 탈시설, 계속해보겠습니다 - 향유의집 폐지가 남긴 숙제 ② 시설폐지를 위한 매뉴얼은 없다 '매뉴얼이 없는데 어떻게 시설 문을 닫나요?'

    매뉴얼이 없는데 어떻게 시설 문을 닫나요?   향유의집 내 구름다리. 사진 오른쪽 앞에는 짐수레로 개조한 수동휠체어가 있으며 등받이 쪽에 ‘121호’라고 적혀 있다. 짐수레 앞에는 전동휠체어가 어렴풋이 보인다. 사진 가운데 소실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
    Date2021.08.19 Views189
    Read More
  19. [비마이너] 기획연재 - 탈시설, 계속해보겠습니다 - 향유의집 폐지가 남긴 숙제 ① 아무도 살지 않는 시설의 역사 _ 하(下) '프리웰, 비리법인에서 시설폐지하는 법인으로'

    프리웰, 비리법인에서 시설폐지하는 법인으로   마로니에 8인.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김동림, 김용남, 김진수, 방상연, 황정용, 홍성호, 하상윤, 주기옥. 사진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 [전편] 장애수당 건드리자 시설범죄 줄줄이 탈시설정책의 초석, ...
    Date2021.08.19 Views176
    Read More
  20. [비마이너] 기획연재 - 탈시설, 계속해보겠습니다 - 향유의집 폐지가 남긴 숙제 ① 아무도 살지 않는 시설의 역사 _ 상(上) '장애수당 건들이자 시설범죄 줄줄이'

    장애수당 건들이자 시설범죄 줄줄이   향유의집 내 구름다리. 사진 오른쪽 앞에는 짐수레로 개조한 수동휠체어가 있으며 등받이 쪽에 ‘121호’라고 적혀 있다. 짐수레 앞에는 전동휠체어가 어렴풋이 보인다. 사진 가운데 소실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분위...
    Date2021.08.19 Views22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