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62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 사람 얼마나 외로웠을까

 

00503211_20170717.JPG

 

홍은전
작가,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그날 박진영씨가 종이에 뭔가를 써와서는 세 부를 복사해 달라고 하더래요. 복사해주니까 그걸 하나하나 봉투에 넣더니 시청, 청와대, 경찰서에 보내 달라 그러고는 그 자리에서 칼로 자기 심장을 찔렀대요. 구급차로 이송하던 중에 돌아가셨어요.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심장을 너무 깊게 찔러서. 주민센터 담당자 말이, 두 달 동안 정말 ‘매일’ 찾아왔대요. 어릴 때 발병해서 교육도 제대로 못 받았는데 장애등급 하락됐다고 갑자기 자기를 ‘근로능력자’라고 하면, 당장 어딜 가서 돈을 버느냐고. 괴팍한 장애인이었대요. 만날 와서 따지고 화내는. 그러니 공무원들은 짜증나고 싫었겠죠. 누가 그런 사람을 좋아하겠어요.”

 

이것은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집행위원장 이형숙의 말. 박진영은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한 광화문 농성장에 들어온 네 번째 영정의 주인공이다. 나는 박진영을 이토록 피가 돌고 생생한 표정을 가진 존재로 이야기하는 사람을 처음 보았다. 이형숙이 말했다. “그 사람 얼마나 외로웠을까요.” 그녀는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박진영의 유서를 핸드폰에 넣고 다녔다. “나는 비장애인이 되는 게 꿈이었어요. 장애인들은 구질구질하니까.” 그랬던 그녀는 마흔이 넘은 나이에, 출근길 도로를 점거하고 으리으리한 국제대회장에 난입해 구호를 외치다 사지를 들려 끌려가는 ‘괴팍하고 구질구질한’ 장애인이 되었다. 며칠 후 그녀는 벌금 탄압에 항의하는 노역투쟁을 벌일 참이었다.

 

휠체어도 압수된 채 편의시설이라곤 없는 감방에 던져진 장애인이 그저 ‘냄새나는 존재’로 전락하는 데에는 하루도 채 걸리지 않는다. 그녀는 2년 전에도 노역을 살았다. ‘그 힘든 걸 왜 또 합니까?’ 내가 묻자, 그녀가 담담하게 대답했다. ‘그럼 누가 합니까?’ 노역이 얼마나 고역인지 잘 아는 얼굴, 그래서 자신이 무엇을 감당해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의 얼굴이었다. 오래전 한 장애여성에게 물었던 적이 있다. ‘당신은 왜 싸웁니까?’ 그녀가 대답했다. ‘싸운다는 게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뼈가 저리도록 처절하게 알지. 그래서 싸우는 사람들의 곁을 떠날 수가 없어.’

 

그땐 몰랐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나는 두 문장 사이에 전혀 인과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오히려 그 반대에 가까웠다. 사람들은 ‘알기 때문에’ 떠났다. ‘안다는 것’과 ‘감당한다는 것’ 사이엔 강이 하나 있는데, 알면 알수록 감당하기 힘든 것이 그 강의 속성인지라, 그 말은 그저 그 사이 어디쯤에서 부단히 헤엄치고 있는 사람만이 겨우 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신영복은 ‘아름다움’이 ‘앎’에서 나온 말이며, ‘안다’는 건 대상을 ‘껴안는’ 일이라 했다. 언제든 자기 심장을 찌르려고 칼을 쥔 사람을 껴안는 일, 그것이 진짜 아는 것이라고.

 

세상엔 자신의 유서를 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싸움은 그들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싸움의 지속은 타인의 유서를 품고 사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 김소연의 시에 이런 구절이 있다. ‘사람의 울음을 이해한 자는 그 울음에 순교한다.’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사람의 구질구질함을 이해한 자는 그 구질구질함에 순교한다. 창살 ‘없는’ 감옥에서 누리던 그마저의 권리도 내려놓고 창살 ‘있는’ 감옥으로 들어가는 사람들. 그들은 아름답다. 17일, 이형숙·박옥순·이경호 세 사람이 국가의 벌금 탄압에 저항해 노역투쟁에 들어갔다. 농성 기간 5년 동안 그들과 그 동료들에게 지워진 벌금은 5천만원이 넘었다. 연대와 후원을 바란다. 국민은행 477402-01-195204 박경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 [웰페어 뉴스] 활동지원 만 65세 연령제한 “ 장애인판 고려장” 노들센터 2017.11.09 286
133 [경향신문] 장애인단체 대표, 서울 중부경찰서 화장실서 점거농성 벌인 까닭 노들센터 2017.11.04 235
132 [한겨레] 복지예산, 대통령 공약사업 쏠려 취약층 ‘찬바람’ 노들센터 2017.11.04 202
131 [환경미디어] ‘장애등급제 폐지 민관협의체’ 구성, 20일 1차 회의 개최 노들센터 2017.11.04 214
130 [한겨레칼럼-홍은전] 선감도의 원혼들 / 홍은전 노들센터 2017.10.23 225
129 [비마이너] 국가주도 탈시설 추진, 스웨덴은 이렇게 해냈다 노들센터 2017.09.21 372
128 [한겨레칼럼-홍은전] 앎은 앓음이다 file 노들센터 2017.09.10 270
» [한겨레칼럼-홍은전] 그 사람 얼마나 외로웠을까 file 노들센터 2017.09.10 262
126 [한겨레] 1842일 간의 농성 끝에 복지부장관이 찾아왔다 노들센터 2017.09.05 234
125 [에이블뉴스] 내년 장애인활동지원 단가 1만760원 책정 노들센터 2017.08.30 261
124 [뉴스1] 박능후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위원회 만들겠다" 노들센터 2017.08.29 373
123 [중부일보] 장애인단체, 장애인시설 법인 기준완화에 경기도의회 점거농성 노들센터 2017.08.29 250
122 [연합뉴스] 장애인단체 "부양의무제 단계적 완화 안돼…전면 폐지해야" 노들센터 2017.08.16 313
121 故박종필 감독 영화 돌아보기 노들센터 2017.08.02 327
120 [CBS노컷뉴스] 늘 약자 곁에서 카메라 들던 그의 유언은 "미안해"였다 노들센터 2017.08.02 421
119 [한겨레] 세월호·장애인·빈민 곁 지켰던 박종필 감독 별세 노들센터 2017.08.02 253
118 [채용정보] 종로구청 일자리경제과_ 2017년 롯데글로벌로지스(주) 고객콜센터 재택근무 상담원 채용 안내 file 노들센터 2017.07.14 1000
117 [인권뉴스] 형제복지원 생존자들이 묻는다 : 나는 누구입니까? 노들센터 2017.06.28 405
116 [인권뉴스] 강북구청 노점 단속 사망…진상규명 요구 확산 노들센터 2017.06.28 302
115 [한겨레칼럼-홍은전] 유골을 업고 떡을 돌리다 file 노들센터 2017.06.21 2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