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차별금지법은 함께살기법] ①-1 인종차별은 왜 일어나는가
김승섭 고려대 교수, 데이비드 윌리엄스 하버드대 사회학과 교수 대담

중국동포 차별 독특한데…
“평등 원칙에는 동의하지만 실제 행동할 때는 편견이 작용”
제주 예멘인 난민 거부는…
“트럼프 ‘반이민자’ 정서와 비슷 기득권이 소수자 희생양 삼는 것”
차별적인 행동 왜 하는가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편견 스스로 경계 풀 때 쉽게 나타나”
김승섭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교수가 지난해 11월12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하버드대학 보건대학원 연구실에서 데이비드 윌리엄스 사회학과 교수와 대담하고 있다. 김승섭 교수 제공
김승섭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교수가 지난해 11월12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하버드대학 보건대학원 연구실에서 데이비드 윌리엄스 사회학과 교수와 대담하고 있다. 김승섭 교수 제공


코로나19 사태 초기 중국동포 밀집지역인 서울 대림동을 비위생적인 곳으로 보도한 <헤럴드경제> 기사가 비판을 샀다. 중국동포에 대한 막연한 혐오를 확산한 이 기사는 대림동 주민들에게 폭력이었다. 사회역학자 김승섭 고려대 보건과학대학 교수는 지난해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연구년을 보내며 오랫동안 차별의 폭력과 맞서 싸운 석학들과 만나 대담을 했다. 이들은 모두 소수자 당사자이면서 관련 연구에서 탁월한 학문적 성취를 이룬 학자들이다. 첫 주인공은 인종차별 연구의 권위자인 데이비드 윌리엄스 하버드대 사회학과 교수다. 인구가 10만명 안팎인 카리브해 아루바섬에서 태어나 미국으로이주한 그는 2008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흑인 사회과학자로 선정됐다. 그는 “‘나는 한번도 누군가를 차별한 적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이야말로 차별적인 행동을 하기에 최적화된 사람일 수 있다.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편견은 스스로에 대한 경계를 풀 때 더 쉽게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김승섭 : 한국의 인종차별 문제에는 독특한 쟁점이 있다. 중국동포나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한국인과 외형적으로는 구분되지 않는 같은 민족이지만 다른 인종처럼 취급받는다. 영화나 언론은 그들을 범죄자나 돈벌레 등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한국에 거주하는 80만명의 중국동포와 3만여명의 북한이탈주민은 차별과 낙인의 대상이 된다.

 

 

데이비드 윌리엄스(이하 윌리엄스) : 브라질의 상파울로에는 수십년전 일본인이 만든 대규모 일본인 공동체가 있다. 그 곳에서 태어난 일본인 부모의 자식들이 그 공동체에서 성장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서 겪은 차별에 대한 연구가 있다. 그 결과는 당신이 말한 사례와 매우 비슷하다. 또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된 한 연구는 흑인이 흑인에게 차별을 받았을 때 가해자가 백인인 경우보다 정신건강에 더 나쁜 영향을 받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같은 그룹에 속해 있다고 생각했던 사람에게 차별을 받게 되면 사회적인 표준을 어길 뿐 아니라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기 때문에 더 크게 상처받는다.

 

 

김승섭 : 한국은 다른 인종에 대한 차별도 심각한 나라다. 여러 소수자에 대한 차별인식을 측정하는 ‘세계가치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30% 가까이가 다른 인종과 함께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미국은 이 응답이 5%에 그친다.

 

 

윌리엄스 : 미국에서도 인종에 대한 태도는 사회적인 상황에 따라 계속 바뀌었다. 1940~1960년대 조사를 보면, 매우 적극적으로 인종차별을 하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1970~1980년대를 거치며 그 비율이 많이 줄었다. 이제 90%가 넘는 미국인이 능력만 있다면 인종과 상관없이 거주지를 정하고 학교를 다니고 직장을 구할 수 있어야 한다는 ‘평등의 원칙’에 동의한다. 하지만 실제 그 사회가 평등한지는 다른 문제다. ‘원칙 실행의 간극’(principle implementation gap)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모든 흑인이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서 집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으면 95% 넘는 사람이 ‘그렇다’고 답하지만 집주인이 상대가 흑인이라는 이유로 집을 팔지 않는 것을 금지하는 법에 찬성하느냐고 물으면 65%만 ‘그렇다’고 답한다. 주거 뿐 아니라, 많은 영역에서 인종 차별 금지 원칙에 찬성하는 것과 모든 사람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정책을 지지하는 것 사이에는 대부분 30%가량의 차이가 존재한다.

 

 

김승섭 : 2018년 제주도에는 500여명의 예멘인이 들어와 난민 신청을 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그들을 범죄자로 취급하고 거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우세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미국 국경에 담을 쌓은 것과 비슷한 사회적 편견이 한국에도 있었다. 결국 단 2명의 예멘인만이 난민 자격을 얻었다. 문제는 이처럼 난민이나 이주민을 배제하는 정책이 특정 집단들로부터 적극적인 지지를 받는다는 것이다.

 

 

윌리엄스 : 미국 역사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1882년 미국 의회는 ‘중국인 배제법’(Chinese Exclusion Act)를 통과시켰다. 중국인의 미국 입국을 금지한 법이다. 당시 중국인들은 동부 해안과 서부 해안을 잇는 철도 건설을 위해 미국에 와 있었는데, 이 법 때문에 낙인과 차별에 노출됐다. 20세기에도 그러한 사례가 여럿 있다. 1930~1940년대엔 멕시코계 미국인을 국외로 강제추방했던 역사가 있고, 태평양 전쟁 때에는 일본계 미국인들이 미국을 배신할 것이라고 판단해 감옥에 수감했던 역사도 있다. 한 사회의 기득권이 소수자 집단을 자신의 이익을 빼앗는다고 여기면서 낙인찍고 희생양으로 삼는 사례는 흔하다. 브렉시트에 찬성한 영국인과 트럼프에게 투표한 미국인에게는 ‘반이민자 정서’라는 공통점이 있다. 브렉시트 투표 때 나는 영국에 있었다. 그 뒤 미국에 돌아온 나는 동료들에게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브렉시트에 찬성한 사람들 중 다수가 영국에 있는 거의 모든 문제의 원인이 이민자 때문이라는 비현실적인 주장에 동의했다. 그러니 이민자를 영국에서 제거하면 문제가 해결될 거라고 생각한 것이다. 사회는 그보다 훨씬 더 복잡한 것인데도 말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민자들과 의미 있는 교류를 하는 집단은 다른 반응을 보였다는 점이다. 인구의 거의 50%가 이민자인 런던에서는 브렉시트에 찬성한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매우 낮게 나왔다. 이민자들과 자주 만나는 사람들일수록 그들이 끔찍한 존재가 아니라는 점을 알기 때문이다.

 

 

김승섭 : 당신은 인종차별 경험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설문지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일상에서 누구를 만나 차별을 경험하는지 측정하는 그 설문은 세계적으로 인종차별과 건강 연구가 본격화하는 계기가 됐다. 지금은 단단한 학술연구 영역으로 자리 잡았지만, 당신이 이 연구에 뛰어들 때 상황은 많이 달랐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윌리엄스 : 그동안 사람들은 인종간 건강 불평등은 직업, 임금, 교육 때문일 것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그 세 가지가 비슷한 경우에도 인종에 따라 건강 상태에서 심각하게 차이를 보였다. 물론 당시도 인종이 이런 불평등을 나타나게 하는 것이란 주장이 있었지만,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실증적인 근거가 없었다. 따라서 인종차별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고민을 계속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국립암연구소가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내 이야기를 듣고서, 한 백인 연구자가 인종차별이 중요한 주제지만 그런 예민한 사회적 경험을 측정하는 것을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 이야기를 듣고서 나는 설문지를 반드시 개발해야겠다고 결심했다. 그 뒤 네덜란드 사회학자인 필로메나 에서트의 흑인 이민자 연구 등을 참고해 인종차별이 경찰에게 부당하게 검문을 당하거나 직장을 구하지 못하게 되는 것 같은 큰 사건뿐 아니라, 일상에서 상대방에게 무례한 대우를 받거나 충분히 존중받지 못하는 작은 경험에서도 발생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 설문지를 만들 수 있었다.

 

 

김승섭 : 그 설문과 함께 당신이 차별 연구에 기여한 중요한 성과는 ‘강화된 경계심 설문’을 개발한 것이다. 사람들은 보통 차별을 두고 특정한 경험이나 이벤트라고 생각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차별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이 따로 떨어진 이벤트가 아니라 연속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소수자들은 차별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행위와 무관하게 무시당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긴장하고 그 긴장은 삶을 지배한다. 나는 이 이론이 일반적인 차별에 대한 연구와 다른 독자적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윌리엄스 : ‘강화된 경계심 측정’ 설문지로 실제 차별 경험이 아니라 차별을 경험할 것 같다는 우려만으로도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줄 수 있었다. 가령 집을 떠나기 전에 미리 오늘 어떤 일을 당할지 걱정하고 무시나 모욕을 당하지 않기 위해 자신의 옷차림에 신경을 써야만 하는 등의 스트레스가 삶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설문지로 인해 1990년대 중반 내가 가졌던 중요한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당시 여러 도시에서 진행된 연구를 보면 정해진 시간마다 혈압을 측정했을 때, 낮 시간에 젊고 건강한 흑인과 백인의 혈압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밤에 잠을 잘 때면 백인의 혈압 감소폭이 흑인보다 더 컸다. 밤에도 흑인의 혈압이 많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정신을 차리고 있어야 하는 긴장감에 따른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 마치 잠이 들었을 때도 온전히 긴장을 놓지 못하고 한쪽 눈을 뜨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최근에는 낮에 차별을 경험한 흑인들의 경우 밤에도 혈압이 올라간다는 연구 결과가 여럿 나왔다. 차별적인 환경은 삶의 모든 시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김승섭 고려대 보건과학대학 교수가 데이비드 윌리엄스 하버드대 사회학과 교수와 대담을 마친 뒤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김승섭 교수 제공
김승섭 고려대 보건과학대학 교수가 데이비드 윌리엄스 하버드대 사회학과 교수와 대담을 마친 뒤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김승섭 교수 제공
 

 

김승섭 : 차별을 하는 사람에 대한 최근 연구에도 주목할 대목이 있다. 스스로는 절대 타인을 차별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차별적인 행동을 계속한다는 연구들이다. 응급실에서 인종에 따라 진통제 처방을 다르게 한다는 결과가 이미 여러차례 발표됐다.

 

 

윌리엄스 : 미국 의회가 국립의학학술원에 인종에 따른 의료서비스 차별을 연구해달라고 요구를 했고, 2002년 관련 보고서가 출판됐다. 보험 등 경제적 이유를 제외한 환자들의 차별 경험을 연구한 200편에 가까운 논문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인종에 따라 받는 의료서비스의 질과 양이 크게 달랐다. 이것은 단순히 의사의 편견 문제라기보다 무의식적인 고정관념의 문제다. 우리는 특정한 문화에 영향을 받아 자라면서 어떤 것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이라고 생각하도록 배운다. 누군가를 만나면 자신이 배워온 것에 따라 그 사람의 인종, 성별, 키, 나이 등 일차 정보를 긍정적·부정적 범주와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흑인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가진 문화에서 자란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흑인을 부정적 범주에 포함시킬 가능성이 크다. 존스 홉킨스의 리사 쿠퍼는 의료인의 진료 과정을 녹화한 뒤 연구자들에게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의사소통 수준을 평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의료진 자신이 편견을 가진 특정한 범주의 환자와는 의사소통을 잘 하지 않으려고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타인을 범주화시켜 이해하는 것은 정상적인 정보처리 과정인데, 당신이 성장한 공동체의 환경에 따라 타인에 대한 편견이 무의식에 깊게 새겨질 수 있다. 당신이 흑인이라면 흑인에게는 편견을 가지지 않을 수 있지만 동성애자나 뚱뚱한 사람, 노인이나 여성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자신도 모르게 그들을 차별하게 된다.

 

 

김승섭 : 당신은 한 강연에서 백인 경찰이 무장하지 않은 흑인을 숨지게 하는 과정에서도 그런 무의식적인 고정관념이 작동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당신의 관점을 두고 당신이 경찰폭력에 대해 너그러운 관점을 가진 거 아니냐고 말하기도 한다.

 

 

윌리엄스 : 미국의 일부 지역에는 흑인이 폭력적이고 위험하다는 부정적 고정관념이 널리 퍼져있다. 이런 고정관념은 별다른 생각을 할 여유 없는 급박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흑인에 대한 편견을 가진 경찰은 눈 앞에 있는 흑인이 별 다른 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자신을 위협한다고 생각하고 총을 쏘는 과도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백인이 주머니에서 무언가를 꺼내려고 하면 지갑이라고 인식하지만 흑인의 경우는 총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도 있다. 문제는 우리가 어떻게 이런 무의식에 깊게 내재된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문화를 바꾸어낼 수 있는가다.

 

 

김승섭 : 제도적 차별은 법률로 막을 수 있고, 일대일 관계에서 누군가를 차별하는 행동은 혐오발언 규제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신이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차별적 행동으로 드러나는 무의식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윌리엄스 : 내가 타인을 차별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나는 한번도 누군가를 차별한 적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이야말로 차별적인 행동을 하기에 최적화된 사람일 수 있다.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편견은 스스로에 대한 경계를 풀 때 더 쉽게 나타난다. ‘반고정관념 이미지’(counter stereotype image)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당신이 만약에 모든 여성은 연약하다고 생각한다면, 저녁에 잠들기 전 강한 여성은 어떤 모습일지 여러번 상상해보는 것이다. 그 과정을 통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대체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고정관념을 가진 대상을 계속해서 직접 만나 관계를 맺는 것 역시 내재적 편견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무엇보다 공동체에 존재하는 부정적 고정관념을 바꾸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미디어를 이용해 고정관념을 바꾸려는 시도가 더 적극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 텔레비전에서 게이나 레즈비언을 매우 매력적으로 그릴 때, 동성애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김승섭 : 공동체에 생겨난 차별과 폭력의 경험은 그 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당신이 2018년 공저자로 출판한 논문에는 비무장 흑인이 경찰에 의해 살해당했을 때, 그 사건이 벌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흑인들의 정신건강이 3개월 동안 악화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직접 폭력을 당하지 않아도, 피해자의 가족이 아니어도, 몸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이야기다.

 

 

윌리엄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무장한 흑인이 경찰에 의해 죽임을 당했을 경우에는 인근 흑인 주민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없었다는 점이다. 오직 비무장 흑인의 경우, 다시 말해 살해가 정당화할 수 없는 사건에서만 그런 효과가 나타났다. 난 텔레비전을 통해 그런 사건을 목격하면 위협을 느낀다. 내가 아무 것도 잘못한 게 없더라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김승섭 : 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싶다. 당신은 테드(TED) 강연에서 스스로를 소수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는 ‘적극적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이 낳은 ‘아기’라고 말한다.

 

 

윌리엄스 : 내가 박사 과정을 밟았던 미시간 대학은 당시 사회학 분야에서 ‘톱3’ 대학 중 하나였다. 하지만 등록금이 매우 비쌌고 이민자였던 나는 돈이 없었다. 그때 ‘소수자 장학금’을 받아 등록금과 생활비로 쓸 수 있었다. 그 장학금이 없었다면 나는 이 자리에 올 수 없었을 것이다.

 

 

김승섭 : 적극적 우대정책에 대한 인식은 한 사회가 소수자를 어떻게 대하는지를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교육 환경이 열악한 시골 거주 학생에게 대학 입학 가산점을 주는 것이 공정하지 않다며 비난하는 여론이 있다. 각 개인이 성장한 환경과 역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그 말은 타당한 것일 수도 있다. 공정을 논하기 위해서는 그런 맥락을 고려하는 게 필수적인데 기득권인 다수의 사람들은 그렇게 사고하지 하지 않는다.

 

 

윌리엄스 : 가난해서 음식도 제대로 못 먹는 사람과 전문적인 코치에게 훈련받고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하는 두 사람이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하는 달리기를 한다면 그것을 어떻게 동등한 기회라 부를 수 있나. 플라톤은 “동등하지 않은 사람들을 동등하게 대하는 것만큼 불공정한 일은 없다”고 말했다. 적극적 우대정책이 없다면 불평등이 계속 유지된다. ‘적극적 우대정책’은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이들이 무대에 서고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미국에서 적극적 우대정책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 사람들은 그 정책이 소수 인종만을 위한 것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사실은 여성을 위한 정책이기도 했으며 실제 이 정책은 여성에게 더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1965년 의과대학 입학생 중 7%만이 여성이었다면, 이제는 50%에 이른다. 그러나 같은 기간 의과대학 입학생 중 흑인은 3%에서 6%로 느는 데 그쳤다. 적극적 우대정책으로 혜택을 받은 여성의 대다수는 백인이었고, 결과적으로 백인들이 그 정책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되었다. 기회의 문이 열렸을 때, 백인들이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더 나은 조건에 있었기 때문이다. 흑인들은 그 문을 통과하기 위한 준비가 덜 되어 있었다. 하지만 미국에서 적극적 우대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사람들은 백인이다. 그들이 가장 큰 혜택을 받았음에도 이 정책이 인종적 소수자를 위한 것이라고만 생각하면서 반대하는 것이다.

 

 

김승섭 : 마지막 질문을 하겠다. 한 사회가 차별과 배제에 대응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하나는 우리가 지금까지 이야기한 적극적 우대정책처럼 차별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멕시코와 미국 국경 사이에 벽을 세우는 것처럼 집단 간 경계를 강화하면서 소수자 집단을 체계적으로 배제하는 것이다. 후자처럼 이주민과 같은 소수자를 배제하는 정책은 이미 그 사회에 자리잡은 주류집단에게는 실제로 이득이 될 수 있고, 그것이 트럼프의 정책이 특정 계층으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우리가 전자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윌리엄스 : 미국을 위대하게 만든 것은 다양성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이 모여 새로운 사회와 문화를 만들어왔다. 문제는 몇몇 정치 지도자들이 혐오와 공포를 자신의 정치적 자산으로 활용하는 나쁜 정치를 하는 것이다. 타인을 두려워하거나 미워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보호본능이 강해지고 외부에 공격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그 결과 더 많은 사람들이 상처 입고 다치게 된다. 물론 설득은 어렵다. 나에게도 이것은 큰 도전이자 풀어야 할 숙제다.

 

 

정리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932048.html?_fr=mt2#csidxc7b726b2413e5b08d909b552d1d22fa onebyone.gif?action_id=c7b726b2413e5b08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4 [노동과 세계]“코로나19 위기, ‘기업부도’ 막겠다가 아닌 ‘고용보장’이 우선” 노들센터 2020.04.01 306
233 [뉴스풀]코호트 격리를 겪으며 노들센터 2020.03.27 320
232 [한겨레] “정신장애인 낙인, 사회적 관계 맺을수록 줄어들어” 노들센터 2020.03.26 463
231 [비마이너]코로나19로 시작된 대학 온라인 강의, 학습권 침해받는 ‘농학생들’ 노들센터 2020.03.23 261
230 [비마이너]"우리는 한 명 걸리면 다 죽어" 코로나19 속 쪽방 주민들 노들센터 2020.03.18 258
229 [한겨레] “정치인이 ‘소수자 인권’ 발언 용기내면 변화 공간 생긴다” 노들센터 2020.03.18 243
» [한겨레]“절대 차별한 적 없다는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차별 행동” 노들센터 2020.03.11 551
227 [비마이너]중증장애인에게 코로나19 감염보다 더 두려운 것 노들센터 2020.03.10 226
226 [경향신문] [NGO발언대]‘2m 거리’ 둘 수 없는 사람 노들센터 2020.03.10 252
225 [서울신문-기고] 코로나19와 장애인 / 김필순 사무국장 노들센터 2020.03.05 248
224 [전장연] 기쁜 소식을 알립니다. 노들센터 2020.02.28 242
223 [경향신문]_[법률 프리즘]감염병 비상, 장애인을 위한 매뉴얼은 없다 노들센터 2020.02.07 250
222 [한겨레]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노들센터 2019.12.02 351
221 [KBS 뉴스] “장애아동은 어디서 노나요?”…놀이터에 못 매다는 ‘휠체어 그네’ 노들센터 2019.09.17 360
220 [JTBC] "잠수교처럼 우리 삶도 가려져"…거리로 나선 장애인들 노들센터 2019.07.04 509
219 [노동과세계] 420 장애인차별 철폐의 날,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하라” 노들센터 2019.04.23 571
218 [미디어오늘] “장애인 시설에 갇혀 사느니, 나와 살다 죽었으면” 노들센터 2019.04.23 713
217 [비마이너] 장애운동활동가 500여명, 거주시설폐쇄법 제정 촉구하며 세종시에 집결 노들센터 2019.03.28 541
216 [한겨레칼럼-홍은전] 어떤 졸업식 노들센터 2019.02.21 555
215 [비마이너] 국회입법조사처 “장애등급제 폐지돼도 활동지원 급여량 크게 늘지 않아” 노들센터 2019.01.01 5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