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광화문농성, 1000일의 시간과 11개의 영정   
5월 17일로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농성 1000일
“권력의 무책임과 잘못된 방향” 폭로하는 전면전만 남았다.



그날 광화문역은 경찰들로 가득했다. 경찰은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전원을 차단하고 방패로 계단과 경사로를 막아섰다. 꼼짝하기 어려웠다. 사람들은 화장실도 가지 못한 채 11시간 동안 그곳에 갇혀 있었다. 그 안에서 휠체어를 탄 사람들은 비명을 지르고 경찰의 제압을 뿌리치며 벗어나고자 했다. 그들은 밤이 되어서야 광화문역사 한쪽 바닥을 차지할 수 있었다. 2012년 8월 21일,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한 무기한 농성의 시작이었다. 김밥 한 줄로 하루를 버텼던 사람들은 그날 땀에 ‘쩔은’ 몸 그대로 은박 스티로폼 하나만을 깔고 바닥에서 잤다. 다음날 그곳엔 시민들의 서명을 받기 위한 테이블이 설치되고 며칠 뒤엔 천막이 쳐졌다. 시간이 갈수록 제법 농성장다운 모습을 갖춰 갔다.

 

그러던 중 그해 10월, 농성장에 영정 하나가 들어섰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함께 농성장을 지키던 그들 벗, 김주영이었다. 중증장애여성이었던 그녀는 활동보조인이 없는 새벽에 발생한 화재를 피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숨졌다. 함께 소리치며 싸우던 벗이 이젠 고요히 맞은편 테이블에서 그들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로부터 얼마 후 파주에 살던 장애남매가 그녀 옆에 자리했다. 그 아이들도 부모님이 일하러 나간 사이 일어난 불을 피하지 못했다. 열세 살, 열한 살의 어린 남매였다. 1000일이 가까워진 지금, 농성장엔 11개의 영정이 놓여있다. 그중 절반은 농성장을 지키는 이들과 함께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해 싸워나갔던 사람들이다.


14316876319502.jpg

▲광화문역에 있는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농성장. 17일로 농성 1000일을 맞이한다. 농성장에 놓인 11개의 영정.



1000일의 시간, 반복되는 죽음, “싸워야 한다”

 

11명의 죽음은 이를테면, ‘증언’ 같은 거였다. 이 국가가 가난하고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얼마나 표독스럽게 죽이는지에 대한.

 

김주영 씨는 2012년 당시 최중증장애인이 받을 수 있는 최대치의 활동보조 시간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그 시간은 하루의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 나머지 절반은 홀로 있어야 했다. 그래서 화재가 발생한 그 날 밤, 문까지 겨우 세 발자국 되는 거리를 빠져나오지 못했다. 파주 남매 중 동생 지훈은 뇌병변장애 1급에 청각장애 2급의 최중증장애인으로 활동보조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지만, 등급재심사에 드는 비용, 활동보조 이용 시 발생하는 본인부담금, 성인에 비해 턱없이 짧은 이용 시간 등을 이유로 활동보조서비스를 신청하지 ‘못’ 했다. 그리하여 가난으로 맞벌이하는 부모를 대신해 열세 살 누나가 열한 살 동생을 돌봐야 했다.

 

기초생활수급 탈락 위기에 처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도 있었다. 간질 장애가 있던 박진영 씨는 장애등급 의무 재판정 결과 4급에서 ‘등급 외’로 하락했다. 현행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장애 1~4급은 일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나 5~6급이나 ‘등급 외’는 근로능력이 있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간질 장애로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하고 성인이 되어서도 적절한 일자리를 구할 수 없었던 그에게 기초생활수급비는 삶의 마지막 보루였다. 수급 탈락의 위기는 그에게 극한 두려움으로 닥쳐왔다. 하지만 사회는 삶의 벼랑에 선 그를 끝내 절벽으로 떠밀었다.

 

광화문역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농성장엔 그러한 죽음들이 쌓여있다. 불이 났지만 달아날 수 없었고, 아팠으나 병원에 갈 수 없었던 사람들. 장애인거주시설에서 누군가에게 맞아서 죽은 사람들.

 

지난 1000일의 시간은 사람이 이렇게 살고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을 사회에 알리는 날들이었다. 농성장을 지키는 사람들은 신문 한편에 조용히 묻혀 잊힐 수도 있었던 이들의 죽음을 구체적으로 꺼내 얼굴을 알리고 이름을 불렀다. 그들은 하루도 빠짐없이 외쳤다. 여기 김주영이 죽었다, 여기 27년 동안 시설에서 살다가 지역사회에 나온 지 6개월 만에 송국현이 불타 죽었다, 여기 시설에서 또 한 명의 장애인이 죽었다,…… 이 죽음의 진상을 밝혀라! 


14316880432949.jpg

▲고 김주영 활동가의 영정 사진이 담긴 대형 현수막.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지난 2013년 11월 1일, 유엔 에스캅 정부 간 고위장관급회의가 열리는 송도 컨벤시아 1층을 점거하며 김주영 활동가의 죽음에 대한 복지부 장관의 사과를 촉구했다.



한 공간에 오래 머무르는 동안 그 목소리는 확장됐다.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사회에서 배제되었던 중증장애인들이 거리로 나와 모습을 보이는 것 자체가 매우 낯선 풍경이었기에, 서울 한복판 광화문역에 자리 잡은 것은 제법 상징적이었다. 그곳에 있으며 이들은 과거 대한문 앞에 있던 쌍용차 해고 노동자, 재능교육 해고 노동자 등 노동자들과도 자연스레 만나게 되었고, 사회의 ‘정상성’에서 벗어난다는 이유로 벽장 안에 갇혀있던 성소수자들과도 더욱 깊게 손잡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낯섦은 일상적 풍경이 되기도 했다. 너무 익숙하여 서명하는 사람이 몇 명 되지 않던 날도 있었다. 그리고 “적당히 하고 나가야지 너무 한 것 아니냐”는 일부 사람들의 볼멘 시선이 여기저기서 마음을 쑤시던 날도 있었다. 이 잔혹한 현실을 많이 알렸다고 생각했는데 광화문역 농성장은 여전히 섬처럼 외로웠다. 큰 목소리로 오래 외쳤다고 생각했는데 장애인 당사자 중에도 여전히 “나는 장애등급제 폐지를 반대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었다. ‘지금 장애등급제라도 있으니까 조금이라도 혜택을 보지, 이거라도 없어지면 모든 복지혜택이 사라질 것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다. 싸우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리고 죽음은 반복되었다. 그리하여 바로 그것이 더 독하게 싸워야 하는 이유가 되었다.



세계의 끝, 가장 약한 이들이 세계를 확장한다

 

이들은 받는 이(장애인)의 필요는 전혀 고려되지 않은 채 주는 이(국가)의 편의에 맞춰 짜여있는 장애등급제는 즉각 폐지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현재 장애인복지는 의학적 기준으로 나뉜 6개의 등급에 따라 제공된다. 등급이 같아도 장애 유형, 장애 정도, 소득 수준 등은 다름에도 이는 고려되지 않는다. 지체장애 1급과 청각장애 1급, 지적장애 1급이 필요로 하는 복지는 분명 다르지만 이들은 같은 1급이라는 이유로 동일한 복지를 제공받는다. 이것이 장애등급제로 이뤄져 있는 현 장애인복지의 문제점이다. 그래서 판은 다시 짜여야 한다. 받는 이의 기준에 맞춰서. 장애인당사자의 욕구와 필요를 반영한 복지체계로. 국가는 장애인의 삶을 보고 그 각자의 삶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복지가 치욕의 대가가 되어선 안 된다. 그러나 현재 복지는 사람을 벌거벗겨 놓고 그가 가진 것이 정말 아무것도 없음을 확인한 뒤에야 간신히 주어진다. 대표적인 것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이다. 이 법에 따르면 ‘1촌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가 부양의무자다. 즉, 부모와 자식, 부부간엔 서로에 대한 부양의무가 있다. 수급비는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부양받을 수 없는 사람 중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사람만 준다.

 

부양의무자 기준은 독소조항이다. 가령 장애인의 경우, 시설에서 나와 수급자가 되려고 해도 부모가 살아있다면 부모 소득을 통해 자신의 수급 여부가 결정된다. 서류 상엔 부모가 존재하나 실제로는 가족관계가 단절되었다면, 각종 서류를 통해 가족관계 단절 여부를 자신이 증명해야 한다. 그래서 복지 수급자들은 부양의무자가 자신을 부양할 수 없음을, 부양의무자로 지목된 이들은 자신이 누군가를 부양할 수 없음을 끊임없이 해명해야 한다. 그 치욕을 감당할 수 없어 숱한 이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싸움은 그렇게 이 세계 가장 힘없고 가난한 이들의 싸움이다. 그들은 약한 바람에도 세차게 흔들리는 세계의 끝에 위치한 이들이다. 끝은 경계이고 가장자리다. 경계가 허물어지고 무너질 때, 세계는 확장된다. 나무의 끝에서 새순이 돋아나듯, 새순에서 이파리가 피어나고 꽃이 피어나듯, 새 세계로의 확장은 끝에서 가장 부드럽고 역동적으로 일어난다. 세계가 확장됐을 때 우리는 더 많은 사람과 함께할 수 있으리. 그때, 장애와 가난을 이유로, 어떠한 조건들을 이유로 이 땅에서 추방되었던 이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광화문역 농성장은 바로 그 현장이다. 그래서 이들은 힘이 세다.

 

2015년 5월 17일은 농성 1000일이 되는 날이다. 농성을 이끄는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 공동행동은 농성 1000일을 맞아 또다시 싸움을 준비한다. 농성 3주년이 되는 8월 21일까지 95일 동안 매일 매일 몸에 쇠사슬을 걸고 사람들의 출퇴근길을 막아설 것이다. 이들이 막는 것은, “도로 교통이 아닌, 장애인과 가난한 사람을 배제하고 가는 자본의 속도, 권력의 속도다.” (박경석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 공동행동 공동대표)

 

아마 95일 동안 전국 곳곳에서 ‘교통대란’이 일어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와 급작스럽게 만난 사람들은 10년 전 장애인들이 지하철 선로를 점거하고 버스를 점거할 때처럼 손가락질하며 비난을 퍼부을지도 모르겠다. “병신들이 집에나 있지 왜 기어 나와서” 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바로 그러한 싸움으로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저상버스가 들어서지 않았나.


14316877360629.jpg

▲지난해 4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고 송국현 씨 죽음과 관련해 문형표 복지부 장관에게 면담요청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항의의 의미로 면담요청서를 태우고 있다.



모든 ‘절차’를 따랐음에도 목소리가 권력의 꼭대기에 닿지 않을 때, 가난하고 힘없는 이들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전면전뿐이다. 이들은 이러한 전투로 “권력의 무책임과 잘못된 방향”에 대해 폭로할 것이다. 정신없이 돌아가는 이 사회가 놓치고 가는 것은 무엇인지, 효율화라는 이름으로 잘라내는 것들이 어떠한 것인지. 우리는 95일 동안 출퇴근 시간에 승자독식의 사회에서 이 사회 바깥으로 밀려난 이의 얼굴과 마주할 것이다. 당신은 가난하고 힘없고 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인간의 조건이 박탈당한 사람의 얼굴을 응시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는 당신에게 물을 것이다. 빈곤의 최전선에 선 이에게 사회는 왜 다른 삶의 선택지를 주지 않는가. 노동하지 못하는 인간은 존엄하지 않은가. 그러한 이유로 자유를 박탈당해도 괜찮은가. 그렇지 않다면 이 삶은 누구에 의해 보장받아야 하는가. 가족? 이웃? 국가? 당신은, 이 사회는 이 물음에 응답해야 한다.



출처: 비마이너 강혜민기자 (http://beminor.com)






  1. [한겨레] '이동권 보장하라' 휠체어 고공농성

    “이동권​ 보장하라” 휠체어 고공농성김미영 기자 등록 2016-06-12 20:08 수정 2016-06-12 21:48 ​이도건(36) ‘경기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경기공투단) 공동집행위원장. 사진 경기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제공 이도건 ‘경기장애인투쟁단’ 위원장 여...
    Date2016.06.14 Views203
    Read More
  2. [비마이너] 허공에 밧줄로 매달린 장애인

    허공에 밧줄로 매달린 장애인, “경기도는 장애인 이동권 보장하라” 경기420공투단, 남경필 도지사에 약속 이행 요구하며 고공시위2016년06월02일 20시38분 경기420공투단 이도건 집행위원장이 육교에 매달려 고공시위를 벌이고 있다. ‘장애인 이동권 보장’ 등 ...
    Date2016.06.04 Views198
    Read More
  3. [민중의소리] '장애인차별철폐의 날'로 나꿔나가자

    장애인차별철폐 투쟁결의대회 | 사회 “‘장애인의 날’을 ‘장애인차별철폐의 날’로 바꿔나가자”장애인의 날을 맞아 차별 철폐 결의대회 열려 이승훈 수습기자 최종업데이트 2016-04-20 21:12:32 이 기사는 402번 공유됐습니다 2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
    Date2016.04.21 Views417
    Read More
  4. [미디어오늘] 서울시는 탈시설 개념을 명확히 하라 : 장애인시설을 떠나게 해달랬더니

    장애인 시설 떠나게 해달랬더니 쪼개기만 했다 2016년 04월 08일(금) 미디어오늘 장슬기 기자 wit@mediatoday.co. - 장애인단체 “서울시는 탈시설 개념부터 명확히 하라”… 시설탈출과 자립 외치며 실상은 시설 소규모화 지난달 2일 대구에서 비극적인 일이 발...
    Date2016.04.14 Views449
    Read More
  5. [경향신문 단독] 장애인들의 '한강다리 건너기' 프로젝트 법원 승소

    장애인들의 ‘한강다리 횡단 집회’를 막은 경찰의 처분은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장애인들은 “집회·시위의 자유는 장애여부를 떠나 동일하게 존중받아야 한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부장판사 김용철)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
    Date2016.03.29 Views338
    Read More
  6. [비마이너] 20대 총선 장애인 생존권 쟁취 전국집중결의대회

    4·13 20대 총선을 앞두고 장애인들이 생존권 쟁취를 위한 집중결의대회를 열었다. 결의대회 이후 이들은 여야 주요 정당을 돌며 요구안을 전달했다.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아래 420공투단)은 25일 오후 3시 여의도 이룸센터 앞에서 열린 집중결의대회에...
    Date2016.03.27 Views215
    Read More
  7. 차별을 걷어차는 부릉부릉 자동차’, 출발합니다!

    [한겨레_포토] 장애인권리보장법 만들라!…전국순회투쟁 나선 장애인들 ‘차차차’(차별을 걷어 차는 부릉부릉 자동차) 출정 기자회견 등록 :2016-03-21 15:42수정 :2016-03-21 15:44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가 21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Date2016.03.22 Views258
    Read More
  8. 2016총선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요구안 발표

    “장애인 요구 외면하는 ‘나쁜정치’ 물러가라” 총선 정책 요구안 선포 총선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 요구안 발표 비마이너 등록일 [ 2016년02월23일 11시59분 ] 2016년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애계가 정치권을 향한 요구안을...
    Date2016.02.24 Views307
    Read More
  9. 휠체어 타고는 고속버스 이용 못하나요?

    휠체어 타고는 고속버스 이용 못하나요?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입력 : 2016.02.05 14:46:440 실질적인 설 연휴 시작일인 5일 서울 동서울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휠체어를 탄 한 장애인이 고향가는 버스를 찾고 있다. 이 남자는 단 한번도 버스를...
    Date2016.02.16 Views385
    Read More
  10. “함께 일하자는 것이 장애인의무고용제도의 본질”

    국내 '최대' 서울대병원, 장애인 의무고용 ‘최하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서울대병원에 장애인 의무고용 비율을 지키라며 오병희 병원장과의 면담을 촉구했으나 끝내 무산됐다. 이 과정에서 상황을 정리해야 할 경찰은 시종...
    Date2016.01.05 Views288
    Read More
  11. 경기도 저상버스 도입 약속 파기 .. 광역버스 점거 시위

    경기도 저상버스 도입 약속 파기...광역버스 점거 시위 경기장차연 저상버스 100% 도입 계획 등 요구 경기장차연 소속 회원 30여명이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서울-김포 간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점거한 채 시위를 벌였다 경기장차연 소속 회원 30여명이...
    Date2016.01.05 Views446
    Read More
  12. 광화문 농성 3주년...“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하자”

    광화문역 농성 3주년을 맞아 각계각층 단체에서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를 폐지하기 위해 공동으로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공동행동(아래 공동행동)은 21일 오후 5시 광화문 광장에서 광화문역 농성 3주년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날 행...
    Date2016.01.05 Views308
    Read More
  13. 광화문농성, 1000일의 시간과 11개의 영정

    광화문농성, 1000일의 시간과 11개의 영정 5월 17일로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농성 1000일 “권력의 무책임과 잘못된 방향” 폭로하는 전면전만 남았다. 그날 광화문역은 경찰들로 가득했다. 경찰은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전원을 차단하고 방패로 계단...
    Date2016.01.05 Views378
    Read More
  14. 마침내 인권위도 "장애인 못 타는 고속버스, 국가가 해결해야"

    인권위, 고속·시외버스 편의시설 재정지원, 법령 개정 등 주문 “현재 운행 중인 버스 개조로 휠체어 탑승 설비 장착 가능” ▲"장애인도 버스 타고 고향에 가고 싶다" 지난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장애인의 시외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
    Date2016.01.05 Views527
    Read More
  15. 2025년 저상버스 100%, 서울시 장애인이동권 마스터플랜 공개

    2022년까지 전 역사에 엘리베이터 설치 등 계획 담겨 장애인계 “차별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이동권의 보편성 획득” 서울시와 장애인계가 함께 논의하여 만든 ‘장애인 이동권 증진 마스터플랜’이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서울시는 ...
    Date2016.01.05 Views386
    Read More
  16. 장애성인 ‘맞춤형’ 교육? “예산, 공간 지원 필요해”

    기존 장애인야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해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려면 장애 유형, 일상생활 기술 등을 반영한 맞춤형 문해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학력 인증 방안 도입, 교육 시수 지침 마련 등의 사안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게 현장의 지적...
    Date2016.01.05 Views300
    Read More
  17. 가장 가난한 사람 골라내는 ‘가짜 복지’ 넘어서려면?

    "내 아이의 점심을 내가 책임지는 것은 거창하게 말하자면 그것이 바로 개인의 독립이며 자존이기 때문이다. 내가 할 일은 내가 하는 것이지 국가가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다. (…) 그것은 누구에게도 양보할 수 없는 부모의 당연한 책임이자 정성을 쏟...
    Date2016.01.05 Views20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