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준경의 길

 

등록 :2018-12-17 18:08수정 :2018-12-17 19:26

 

 
홍은전
작가·인권기록활동네트워크 ‘소리’ 활동가

 

전단지 뒷면에 쓰인 그의 유서는 이렇게 시작한다.

 

“저는 마포구 아현동 572-55호에 월세로 어머니와 살고 있었는데 세번의 강제집행으로 모두 뺏기고 쫓겨나 이 가방 하나가 전부입니다.” 3일을 먹지도 자지도 못한 채 거리에서 보내며 내일이 오는 것이 두려워 자살을 선택한 그는 12월4일 한강에서 발견되었다. 철거민 박준경. 서른일곱의 남자가 이 세상에 마지막으로 남기는 당부는 이것이었다. “저는 이렇게 가더라도 어머니께는 임대아파트를 드려서 저와 같이 되지 않게 해주세요.” 그는 이 유서를 사람들이 잘 발견할 수 있도록 망원유수지의 정자에 놓아두었다.

 

유서에 쓰인 주소를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지도 앱에 입력해보았다. 누군가 나에게 자신의 주소를 알려준다면 실은 굉장한 책임을 부여받는 일이다. 그에게 무슨 일이 생긴다면 어쩔 수 없이 그곳에 가보아야 하는 것이다. 지난 토요일 박준경이 살았던 아현동 골목에서 추모제가 열렸다. 아현역에서 10분도 채 걷지 않았는데 거대한 살풍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한때 2300여가구가 촘촘히 밥 냄새 풍기며 살았을 동네는 완전히 도륙당했다. 집집마다 문은 모조리 떼어졌고 바닥은 부서진 채 파헤쳐졌으며 창문은 안에서 밖으로 깨어져 파편이 곳곳에 흩어져 있고 군데군데 똥오줌을 묻힌 이불이 악취를 풍기며 볼썽사납게 널브러져 있었다. 용역깡패들의 계산된 패악이었다.

 

박준경과 어머니는 이곳에서 10년을 살았다. 보증금 300만원에 월세 25만원을 내며 살던 그들은 이곳을 떠날 여유가 없었다. 동네엔 그들 같은 가난한 세입자가 많았지만 그들을 위한 보상과 이주 대책은 아무것도 없었다. 오직 30차례가 넘는 강제집행만이 이루어지는 동안, 가난한 사람들은 수십년을 뿌리내리며 살았던 집에서 도둑처럼 끌려나와 내동댕이쳐졌다. 9월, 살던 집에서 쫓겨난 두 사람은 헤어져서 철거지역의 빈집을 전전했다. 박준경은 전기도 물도 끊긴 집에서 3개월을 지냈다. 그리고 11월30일이 왔다.

 

서울시가 12월부터 2월까지 동절기 강제집행을 금지했으므로, 용역들은 11월30일에 쳐들어왔다. 어머니는 아들에게 문자를 보냈다. “배낭에 중요한 것들을 챙겨.” 그날 박준경은 마지막까지 버티다 끌려나왔다. 어머니는 아들을 만나, 추우니 찜질방에 가 있으라며 5만원을 주었다. “돈 떨어지면 언제든지 엄마한테 와.” 준경은 “용역들이 곧 들이닥칠지 모르니 어머니도 조심하시라” 일렀다. 두 사람이 지상에서 마지막으로 나눈 이 대화를 생각하면 나는 조금 울고 싶다. 준경은 4일 후 주검으로 돌아왔다. ‘어머니에게 힘이 되어야 했는데 짐만 되어 죄송하다’는 유서와 함께.

 

건물은 부수고 재건축하면 그만이지만, 사람은 한번 부수어지면 회복되기 어려운 존재라는 걸 그가 죽음으로 말하고 있다. ‘박준경의 길’을 따라 걸으며 ‘여기 사람이 있다’는 오랜 구호를 처음으로 이해했다. 그의 청춘과 삶을 느끼고 싶어 찾아간 길이었는데, 가난했던 청춘이 당한 처참한 모욕과 죽음만 보았다. ‘거기 사람이 있다’는 것이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 곳에, 사람이, 있었다. 박준경의 동료들과 어머니는 살인적인 개발과 강제집행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마포구청 앞에서 농성을 시작했다. 그 어떤 진정한 위로라도 모진 고문이라는 참척의 고통을 당한 어머니가 광장에 앉아 농성을 하는 겨울. 연대와 후원을 요청한다.(고 박준경열사 비상대책위원회, 국민은행 005701-04-155012(조항아))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74753.html#csidxf55c50754bc2ddeb60a087d599bb507 onebyone.gif?action_id=f55c50754bc2ddeb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4 [비마이너] 장애인이 기차 타려면 15분 필요하다? 실측해보니 ‘6분이면 충분’ 노들센터 2019.01.01 518
213 [비마이너] 장애인 할인 요금은 있는데, 정작 장애인은 못 타는 시티투어 버스 노들센터 2019.01.01 505
212 [비마이너] 지역으로 확산된 퀴어문화축제, 혐오로 얼룩졌지만 ‘우리는 여기 있다’ 노들센터 2019.01.01 355
211 [비마이너] 국가가 양산하는 우범지대,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노들센터 2019.01.01 428
210 [웰페어뉴스] 권익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 개선 권고 노들센터 2019.01.01 298
209 [웰페어뉴스] 장애인선수 취업지원교육 첫 수료자 40명 배출 노들센터 2019.01.01 267
208 [주간경향] 교통약자의 시각으로 시설 안전관리를 노들센터 2019.01.01 290
207 [경향신문] 보이지 않게 일하다 사라져버린 사람 노들센터 2019.01.01 275
» [한겨레칼럼-홍은전] 박준경의 길 노들센터 2019.01.01 221
205 [한겨레] 박경석의 ‘기회’ 노들센터 2019.01.01 246
204 [에이블뉴스] 내년부터 장애인보장구 바코드관리제 도입 노들센터 2019.01.01 496
203 [함께걸음] 사람을 갇히게 하는 질문, 자유롭게 하는 질문 노들센터 2019.01.01 288
202 [함께걸음] 올해 장애인에게 디딤돌과 걸림돌이 된 판결은? 노들센터 2019.01.01 302
201 [함께걸음] 근육장애인 맞춤형 복지 정보 제공 홈페이지 개설 노들센터 2019.01.01 277
200 [한겨레] 장애등급제 폐지했지만…장애인들은 ‘또 다른 등급제’ 우려 노들센터 2019.01.01 294
199 [연합뉴스] "이해찬 발언, 장애인 비하..사과문은 변명 불과" 노들센터 2019.01.01 250
198 [비마이너] 세계인권선언의 날 70주년, 장애인권 요구 목소리는 길 위에 내팽개쳐졌다 노들센터 2018.12.11 241
197 [한겨레칼럼-홍은전] 타인의 상처를 바라보는 법 노들센터 2018.12.11 371
196 [비마이너] 정부 주도로 2000년에 ‘모든 장애인시설 폐쇄’한 스웨덴, 그 방법은? 노들센터 2018.12.11 324
195 [함께걸음] 부러우면 너희들이 장애인 해! 노들센터 2018.12.11 2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