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76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상 읽기] 비장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 홍은전

 

 

 

00503080_20170424.jpg

 

홍은전
작가·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장애여성을 위한 글쓰기 교육에서 강의를 했다. 나는 ‘당사자들만이 쓸 수 있는 글이 있다’며 내가 만났던 장애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었고, 아마 조금 울먹였던 것 같다. 수업이 끝나자 한 여성이 다가와 말했다. “선생님은 감수성이 뛰어나신 것 같아요.” 조금 부끄러워진 내가 손사래를 치며 그 자리를 벗어나려는 순간 그녀가 이렇게 말했다. “나도 비장애인이라면 그렇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는 당사자니까….” 그녀의 말엔 조금의 비아냥도 없었으므로 나는 마음이 처연해졌다. 한동안 그 말이 내 몸속을 돌아다니며 잊힌 기억들을 툭툭 건드리고 다녔다.

 

노동절 집회 도중 체포된 남편에게 구속영장이 신청된 날이었다. 너무 무서웠는데 무섭다는 소리가 목구멍에 걸려 나오질 않았다. 남편이 구속될 위기에 처한 아내에게 형사가 보인 멸시와 푸대접이 비현실적일 만큼 적나라해서 나는 본능적으로 알았다. 저들은 남편을 가두거나 가두지 않을 권력을 쥐었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납작 엎드리는 일뿐이라는 걸. 불타는 분노는 우리를 도우러 온 따뜻하고 정의로운 사람들의 몫이었다.

 

처음으로 ‘비참’이라는 말의 뜻을 이해했다. 오랜 시간 절박한 이들과 함께했다고 생각했는데, 나는 어디까지나 연대하는 사람이었을 뿐 당사자가 아니었다는 걸, 둘의 세상은 완전히 다르다는 걸 그제야 알았다. ‘손 벌리는 자’의 마음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면서 ‘손잡아주는 자’의 자부심으로 살아왔던 시간이 부끄러워서 펑펑 울었다.

 

스페인 산티아고 길을 여행할 때였다. 값싼 숙소에 한데 뒤섞여 지낸 각국의 여행자들은 두 부류로 나뉘었다. 영어를 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 후자인 나는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이 아니라 그저 영어를 못하는 사람이었다.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현지인이 영어를 못한다는 사실조차 불만이었다. 남의 나라에 와서도 자기 나라 말을 요구하는 자들의 그 엄청난 권능이 부럽고도 싫었다. 그땐 그것이 ‘남자로 살아가는 것’과 비슷하겠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와서는 그 무지함이 평생의 내가 그랬듯, ‘비장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과 비슷하다는 걸 깨닫는다.

 

비장애인은 장애인이 꿈도 꾸지 못할 자유를 아무 노력 없이 누리면서도 일상의 작은 불편조차 장애인의 탓으로 돌림으로써 그들을 격리하고 가두는 엄청난 권력을 행사한다. 인구의 10%가 장애인이지만 그들의 존재는 드러나지 않고,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비장애인들은 일상적으로 자신들의 가해 사실을 인식할 수조차 없다. 한때 남성들이 자신이 여성 혐오의 잠재적 가해자임을 선언하는 장면에 나를 대입하면 식은땀이 난다. 나는 장애인 차별의 잠재적 가해자가 아니라 확실한 가해자이며, 이 시스템의 분명한 수혜자이다. 비장애인인 내가 이 지면에 장애에 관한 글을 쓰는 것이 그 증거다.

 

‘장애인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다’고 말하는 내 목소리가 너무 크진 않은가 신경이 쓰였으나, 이 지면의 새로운 필자에 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이 있어 마음의 짐을 조금 내려놓았다. 세상의 변화는 ‘장애인’에 대해 이야기할 때가 아니라, ‘장애인에게 닥쳐온 어떤 세상’에 대해 이야기할 때 시작되며, 그것은 이 폭력적인 사회에서 아무런 제약 없이 살아가는 90%의 사람들이 비로소 ‘비장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성찰할 때일 것이다. 나는 그것을 글쓰기 교육에서 만났던 그 장애여성으로부터 배웠으므로, 당사자의 말하기, 그 어려운 일을 그녀가 이미 해냈다는 점만은 분명히 말해주고 싶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26812.html#csidxb9ddb97dec9ec7f9d0fa2abd0f6a17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4 [발언문] 장애인수용시설폐쇄법 결의대회_추경진 권익옹호활동가 file 노들센터 2018.04.16 321
153 [경향신문] 어느 탈시설 장애인의 '해방의 경제학' 노들센터 2018.04.12 207
152 [비마이너] 장애계-정부 간의 각종 민관협의체TF 진행사항 file 노들센터 2018.04.12 258
151 [에이블뉴스] 장애인재단 ‘2018 드림카 프로젝트’ 상반기 접수 노들센터 2018.03.25 218
150 [에이블뉴스] 저소득 장애가정 LED조명 설치 노들센터 2018.03.25 204
149 [함께걸음] 이재용과 박경석, 공평한 재판을 받을 권리는 어디에 노들센터 2018.03.18 265
148 [MBC뉴스] "경고했는데도.." 장애인 '휠체어리프트' 사고 늘어 노들센터 2018.03.18 258
147 성소수자들 개정되는 한번에 성소수자 인권을 새겨라 이상우_아기예수 2018.02.26 237
146 등급제 폐지 후 장애인 연금 새 기준 논의. 여전히 공회전 이상우_아기예수 2018.02.19 532
145 [레디앙] “평창·평화·평등 올림픽” 장애·인권단체, 3평 투쟁 선포 노들센터 2018.02.05 193
144 [MBC뉴스] 충남 '인권조례' 전국 첫 폐지..반발 확산 노들센터 2018.02.05 234
143 [세바시] 당신에게 장애인 친구가 없는 이유 노들센터 2018.01.29 362
» [한겨레칼럼-홍은전] 비장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file 노들센터 2018.01.10 276
141 [오마이뉴스] 주거복지 로드맵에 없는 홈리스의 주거권을 찾아서 노들센터 2018.01.10 225
140 [연합뉴스TV] 최저임금 올라도 월급 5만원.."장애인이라서" 노들센터 2018.01.10 242
139 [한겨레 칼럼] 서울로 7017 위에서 / 홍은전 노들센터 2017.12.17 205
138 [한겨레칼럼-홍은전] 시뻘게진 눈알 / 홍은전 노들센터 2017.12.17 282
137 [뉴스1] 장애인 건강주치의제, 내년 2분기 개시…주기적 건강관리 제공 노들센터 2017.11.30 216
136 [에이블뉴스] 부양의무제·장애등급제 폐지 대안은? 임지 2017.11.17 253
135 [비마이너] 인정받는 우리가 되고 싶다 file 임지 2017.11.17 1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