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인 시설 떠나게 해달랬더니 쪼개기만 했다

2016년 04월 08일(금)

미디어오늘 장슬기 기자 wit@mediatoday.co.

- 장애인단체 “서울시는 탈시설 개념부터 명확히 하라”… 시설탈출과 자립 외치며 실상은 시설 소규모화

지난달 2일 대구에서 비극적인 일이 발생했다. 한 30대 여성이 집에서 자고 있는 열 한 살짜리 딸의 목을 졸라 숨지게 했다. 딸은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등 선천성 복합장애를 앓고 있었고, 살인혐의로 구속된 여성은 양육하기 힘들었다며 범행을 자백했다. 지난 4일 부산 기장에서는 경찰관이 다운증후군을 앓는 아들을 죽이고 스스로 목을 맨 것으로 추정되는 사건도 있었다.

장애인에 대한 지원은 이렇게 온전히 가족이 떠맡거나 사회복지시설이 떠맡는다. 장애인이 가족, 시설 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시설에서는 자유가 없다. 미국 발달장애인 당사자 자조단체 연합회는 ‘시설’에 대해 다수가 자신들이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과 살거나, 운영진이 정한 식단, 취침시간에 따라야 하며 나를 보조할 사람을 선택하거나 해고할 수 없는 곳 등으로 정의했다. 

자유가 없는 곳에서 인권침해가 반복됐다. 1987년 세상에 알려진 형제복지원 뿐 아니라 1989년 대전종합복지원, 1991년 대전 신생원, 1998년 양지마을 사건 등 시설폭력 문제는 계속 있어왔고 2000년대 들어서도 달라지지 않았다. 서울판 도가니 사건으로 불린 인강원, 지난 1월2일 송전원 사건까지 사회복지시설의 의문사·(성)폭행 등 범죄는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위계를 가진 폐쇄구조에서 통제수단은 폭력이기 쉽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단체들은 지속적으로 ‘탈시설’을 주장한다. 지난 2008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탈시설에 대한 욕구를 조사했고, 2009년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이 탈시설 정책을 약속했다. 지난 2009년 탈시설을 주장하는 장애인들이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63일간 농성을 하는 등 목소리를 낸 결과다.

129182_167737_4913.jpg
▲ 5일 오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단체들이 서울시의 탈시설 정책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사진=장슬기 기자.

지난 2013년 서울시는 인권증진 기본계획을 통해 탈시설화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2017년까지 관할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약 3000명 중 600명에 대해 탈시설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가 실제로는 탈시설이 아닌 시설 소규모화를 추진하고 있어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단체들이 5일 서울시청 앞에 모여 이를 비판했다. 

서울시 탈시설 정책, 시설 소규모화 

서울시가 발표한 ‘2015년 서울시 탈시설 기본계획’의 골자는 시설보호가 필요한 장애인의 요양보호기능 강화, 시설의 소규모화와 가정적인 분위기 제공 등이었다. 지난 2월 서울시 탈시설 모델개발 TF 회의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의 탈시설 범위는 일반거주 형태의 독립생활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자립생활주택 뿐 아니라 시설에 의존해야하는 그룹홈, 체험홈 등도 포함돼 있다. 

발달 장애인 3~4명이 한 집에 살면서 시설에서 나온 직원의 관리를 받는 그룹홈(공동생활가정)의 경우 법적으로도 소규모 ‘시설’로 분류된다. 장애인들이 자신의 일정을 직원들과 함께 짜고 직원들이 상주하고 있다. 기존에 있던 대규모 시설 건물에서 벗어나 소규모 시설로 장소만 옮긴 것이다. 게다가 현재 진행 중인 ‘소규모화 정책’은 기존 시설을 돕기 위한 예산인 ‘시설기능보강사업비’를 통해 진행된다. 

예산의 규모를 봐도 문제다. 장애인거주시설에 투입되는 총액은 2016년 약 1000억원으로 탈시설 예산 약 20억원의 50배가량이고, 시설 숫자도 2014년 43개에서 2015년 45개로 증가했다. 탈시설을 내걸었지만 실상은 시설지원규모가 커지고 있다. 

반면 미흡한 서울시의 탈시설 정책 대상자조차도 430명 수준으로 전체 44개 시설 3000여명 중 15% 수준에 불과하다. 여전히 ‘시설을 통해’ 장애인들을 관리하는 것이라며 “탈시설 개념부터 명확히 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자립생활주택 사업 예산을 총 5000만원으로 확대해 100채의 주택을 확보해달라고 요구했지만 올해 자립생활주택 사업비는 3970만원(55채)로 지난해 예산에서 동결됐다. 

조아라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는 “시설을 해체하거나 거주인 규모를 축소할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시설만 쪼개면 탈시설이 아니라 시설이 유지되는 것”이라며 “오히려 기존의 시설을 강화하고 촘촘하게 유지해 시설들의 자산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삶

2015년 9월 유엔총회에서 ‘지속가능한 개발목표’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Leave no one behind)’ 삶을 선언했다. 장애인들이 시설에 갇혀있는 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자립해 사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가 필요하다. 집, 활동보조, 돈. 탈시설의 목적은 자립이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이 시설 소규모화가 아닌 이 세 가지를 위해 있어야 한다는 게 장애인단체의 주장이다.

129182_167738_5032.jpg
▲ 지난 2월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시 탈시설 모델개발 TF회의에서 장애인들이 서울시 탈시설 정책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사진=장슬기 기자.

채현식 광진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는 “보통 시설에서 활동보조인 한명이 최소 다섯 명의 장애인을 케어하고 있는데 사실 두명도 돌보기 어렵다”며 “두 명이 화장실을 간다고 해도 한명이 참아야 하는데 다섯 명에서 많게는 여덟 명씩 돌보는 상황에서 규율이 있고 통제를 강하게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도 자녀의 자립을 걱정한다. 28세 장애자녀를 둔 유재숙 은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 울타리부모회장은 “주간보호시설들도 마흔살정도 되면 다닐 수 없다”며 “기존 시설들을 열심히 알아봐도 시설에서는 잘해준다고 하지만 (거주인들) 눈빛에는 희망이 없어 보내고 싶지 않은 마음”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한겨레] '이동권 보장하라' 휠체어 고공농성

    “이동권​ 보장하라” 휠체어 고공농성김미영 기자 등록 2016-06-12 20:08 수정 2016-06-12 21:48 ​이도건(36) ‘경기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경기공투단) 공동집행위원장. 사진 경기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제공 이도건 ‘경기장애인투쟁단’ 위원장 여...
    Date2016.06.14 Views189
    Read More
  2. [비마이너] 허공에 밧줄로 매달린 장애인

    허공에 밧줄로 매달린 장애인, “경기도는 장애인 이동권 보장하라” 경기420공투단, 남경필 도지사에 약속 이행 요구하며 고공시위2016년06월02일 20시38분 경기420공투단 이도건 집행위원장이 육교에 매달려 고공시위를 벌이고 있다. ‘장애인 이동권 보장’ 등 ...
    Date2016.06.04 Views186
    Read More
  3. [민중의소리] '장애인차별철폐의 날'로 나꿔나가자

    장애인차별철폐 투쟁결의대회 | 사회 “‘장애인의 날’을 ‘장애인차별철폐의 날’로 바꿔나가자”장애인의 날을 맞아 차별 철폐 결의대회 열려 이승훈 수습기자 최종업데이트 2016-04-20 21:12:32 이 기사는 402번 공유됐습니다 20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
    Date2016.04.21 Views398
    Read More
  4. [미디어오늘] 서울시는 탈시설 개념을 명확히 하라 : 장애인시설을 떠나게 해달랬더니

    장애인 시설 떠나게 해달랬더니 쪼개기만 했다 2016년 04월 08일(금) 미디어오늘 장슬기 기자 wit@mediatoday.co. - 장애인단체 “서울시는 탈시설 개념부터 명확히 하라”… 시설탈출과 자립 외치며 실상은 시설 소규모화 지난달 2일 대구에서 비극적인 일이 발...
    Date2016.04.14 Views427
    Read More
  5. [경향신문 단독] 장애인들의 '한강다리 건너기' 프로젝트 법원 승소

    장애인들의 ‘한강다리 횡단 집회’를 막은 경찰의 처분은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장애인들은 “집회·시위의 자유는 장애여부를 떠나 동일하게 존중받아야 한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부장판사 김용철)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
    Date2016.03.29 Views324
    Read More
  6. [비마이너] 20대 총선 장애인 생존권 쟁취 전국집중결의대회

    4·13 20대 총선을 앞두고 장애인들이 생존권 쟁취를 위한 집중결의대회를 열었다. 결의대회 이후 이들은 여야 주요 정당을 돌며 요구안을 전달했다.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아래 420공투단)은 25일 오후 3시 여의도 이룸센터 앞에서 열린 집중결의대회에...
    Date2016.03.27 Views202
    Read More
  7. 차별을 걷어차는 부릉부릉 자동차’, 출발합니다!

    [한겨레_포토] 장애인권리보장법 만들라!…전국순회투쟁 나선 장애인들 ‘차차차’(차별을 걷어 차는 부릉부릉 자동차) 출정 기자회견 등록 :2016-03-21 15:42수정 :2016-03-21 15:44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가 21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Date2016.03.22 Views244
    Read More
  8. 2016총선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요구안 발표

    “장애인 요구 외면하는 ‘나쁜정치’ 물러가라” 총선 정책 요구안 선포 총선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 요구안 발표 비마이너 등록일 [ 2016년02월23일 11시59분 ] 2016년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애계가 정치권을 향한 요구안을...
    Date2016.02.24 Views292
    Read More
  9. 휠체어 타고는 고속버스 이용 못하나요?

    휠체어 타고는 고속버스 이용 못하나요?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입력 : 2016.02.05 14:46:440 실질적인 설 연휴 시작일인 5일 서울 동서울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휠체어를 탄 한 장애인이 고향가는 버스를 찾고 있다. 이 남자는 단 한번도 버스를...
    Date2016.02.16 Views372
    Read More
  10. “함께 일하자는 것이 장애인의무고용제도의 본질”

    국내 '최대' 서울대병원, 장애인 의무고용 ‘최하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서울대병원에 장애인 의무고용 비율을 지키라며 오병희 병원장과의 면담을 촉구했으나 끝내 무산됐다. 이 과정에서 상황을 정리해야 할 경찰은 시종...
    Date2016.01.05 Views270
    Read More
  11. 경기도 저상버스 도입 약속 파기 .. 광역버스 점거 시위

    경기도 저상버스 도입 약속 파기...광역버스 점거 시위 경기장차연 저상버스 100% 도입 계획 등 요구 경기장차연 소속 회원 30여명이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서울-김포 간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점거한 채 시위를 벌였다 경기장차연 소속 회원 30여명이...
    Date2016.01.05 Views428
    Read More
  12. 광화문 농성 3주년...“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하자”

    광화문역 농성 3주년을 맞아 각계각층 단체에서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를 폐지하기 위해 공동으로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공동행동(아래 공동행동)은 21일 오후 5시 광화문 광장에서 광화문역 농성 3주년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날 행...
    Date2016.01.05 Views297
    Read More
  13. 광화문농성, 1000일의 시간과 11개의 영정

    광화문농성, 1000일의 시간과 11개의 영정 5월 17일로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농성 1000일 “권력의 무책임과 잘못된 방향” 폭로하는 전면전만 남았다. 그날 광화문역은 경찰들로 가득했다. 경찰은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전원을 차단하고 방패로 계단...
    Date2016.01.05 Views363
    Read More
  14. 마침내 인권위도 "장애인 못 타는 고속버스, 국가가 해결해야"

    인권위, 고속·시외버스 편의시설 재정지원, 법령 개정 등 주문 “현재 운행 중인 버스 개조로 휠체어 탑승 설비 장착 가능” ▲"장애인도 버스 타고 고향에 가고 싶다" 지난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장애인의 시외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
    Date2016.01.05 Views492
    Read More
  15. 2025년 저상버스 100%, 서울시 장애인이동권 마스터플랜 공개

    2022년까지 전 역사에 엘리베이터 설치 등 계획 담겨 장애인계 “차별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이동권의 보편성 획득” 서울시와 장애인계가 함께 논의하여 만든 ‘장애인 이동권 증진 마스터플랜’이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서울시는 ...
    Date2016.01.05 Views357
    Read More
  16. 장애성인 ‘맞춤형’ 교육? “예산, 공간 지원 필요해”

    기존 장애인야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해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려면 장애 유형, 일상생활 기술 등을 반영한 맞춤형 문해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학력 인증 방안 도입, 교육 시수 지침 마련 등의 사안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게 현장의 지적...
    Date2016.01.05 Views289
    Read More
  17. 가장 가난한 사람 골라내는 ‘가짜 복지’ 넘어서려면?

    "내 아이의 점심을 내가 책임지는 것은 거창하게 말하자면 그것이 바로 개인의 독립이며 자존이기 때문이다. 내가 할 일은 내가 하는 것이지 국가가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다. (…) 그것은 누구에게도 양보할 수 없는 부모의 당연한 책임이자 정성을 쏟...
    Date2016.01.05 Views19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