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피 흘린 채 밥 먹었다”…형제복지원의 참상

입력 2020.04.27 (15:54)

 

 

“피 흘린 채 밥 먹었다”…형제복지원의 참상
"제식훈련 때 한 사람이라도 틀리면 밥을 늦게 먹고 몽둥이로 맞곤 했는데, 맞다가 죽은 사람도 직접 목격했습니다."

초등학교 2학년 때쯤 형제복지원에 들어간 피해자가 면접자에게 털어놓은 말입니다.

이 피해자는 "어떤 아저씨들은 맞아서 머리에 피가 흐르는 채로 밥을 먹기도 했다"며 학대를 생생하게 기억하며 절규했습니다.

군사 정권 시절 대표적인 인권 유린 사건으로 꼽히는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1975년부터 12년 동안 형제복지원에서 사망한 사람은 확인된 것만 5백 명이 넘지만, 아직도 사인과 시신의 행방 등은 의문으로 남아있습니다.

형제복지원 실태 첫 공식조사…"맞아서 죽거나 성폭행도 당해"

30년 넘게 어둠에 묻혀있던 형제복지원의 실상은 부산시가 동아대학교 연구팀에 맡긴 용역 조사결과에서 드러났습니다.

지난해 7월부터 시작한 용역에서 연구팀은 형제복지원에 수용돼 생활한 경험이 있는 피해자 149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고, 이들 중 2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도 벌였습니다.

전문가 6명이 벌인 심층 인터뷰에서 피해자들은 형제복지원 수용 경위와 생활, 퇴소 이후의 삶까지 구체적으로 증언했습니다.

부산진역에서 오빠를 기다리다가 형제복지원으로 끌려갔다는 피해자는 끔찍한 기억을 털어놨습니다.

"여자들에게 브래지어를 지급하지 않았고, 생리대도 지급하지 않고 천만 4개씩 줬다"면서 "허벅지가 터지도록 매 맞고 정신병동에서 몇 개월 일했는데, 거기서 강간당하는 사람들과 낙태 수술도 하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형제복지원에서 성폭행을 당한 뒤 탈출해 아이까지 출산했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 아이는 입양됐다고 전했습니다.

괴로움을 호소하는 이도 있었습니다.

형제복지원에서 탈출하기 위해 신임을 얻어 복지원 소대장이 됐다는 면접 참여자는 "자신의 손으로 생매장했던 사람들을 잊을 수 없다"고 증언했습니다.

또 "당시 글을 쓸 수 있었다면 기억이 선명했을 때 형제복지원에서 벌어진 일들, 억울하게 생매장당한 사람들의 위치 등을 적어서 남겨놓았을 텐데 그러지 못한 자신이 한스럽다"고 말했습니다.
 


"끔찍한 기억에 겨우 버텨"…형제복지원 피해는 현재 진행형

형제복지원 피해자들은 끔찍했던 학대의 충격으로 현재의 삶을 겨우겨우 버텨내고 있었습니다.

한 피해자는 "지금도 누가 뒤에서 덮칠까 봐 방문을 바라보며 잔다"며 "문을 닫으면 누군가 문 앞을 지키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면접 참여자는 자신을 "불량품의 삶"이라고 표현하며 "내가 깨져버렸다"고 자책하기도 했습니다.

끝나지 않은 후유증은 연구 결과로도 확인됐습니다.

설문조사를 한 피해자 149명 중 51.7%가 1회 이상 극단적인 시도를 했다고 밝혔고, 피해자의 32.9%는 장애가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설문에 참여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유병률이 내전을 경험한 아프리카 북부 우간다의 지역사회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부산시 차원에서 진행한 첫 공식 조사로 형제복지원 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국가 책임을 묻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한계도 있습니다. 피해자들이 2년 넘게 국회 앞에서 천막 농성 중인데도, 형제복지원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과거사법 통과는 요원합니다.

연구팀은 "국회에서 법이 통과돼 온전한 진상규명이 이뤄지고 국가 차원의 공식 사과와 손해배상이 필요하다"며 "피해자들의 치료와 심리 상담 등을 지원할 수 있는 대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황현규 기자true@kbs.co.kr

 

기사원문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33713&ref=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4 [복지정보] 2017년 LH 전세임대주택 입주자모집 신청방법 file 노들센터 2017.02.07 6988
253 복지하청노동자 활동보조인, 원청 지자체 향해 ‘잽’을 날리다 file 아기예수 2016.02.29 2304
252 [강좌안내] 국정교과서에는 없는 빈곤과 차별의 현대사 이야기 file NCIL 2016.01.05 2295
251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법은 넘쳐나는데 누가 어떻게 담당하나? file 아기예수 2016.02.29 2253
250 제주여행, 관광약자도 쉽게 하세요 file NCIL 2016.01.05 2004
249 장애인권 논문 공모전 참가자 모집 file NCIL 2016.01.05 1917
248 발달장애인도 알기 쉬운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작됐다 file NCIL 2016.01.05 1766
247 필리버스터 수화통역, 진선미 의원부터 지원 file 아기예수 2016.02.29 1718
246 자폐증 소년의 성장기 담은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 file NCIL 2016.01.05 1633
245 서울 중구지역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 담은 ‘앱’ 출시 file NCIL 2016.01.05 1613
244 제15회 한국여성장애인대회 열린다. [비마이너] 허정 2016.06.30 1577
243 내년도 국가공무원 공개채용, 장애인·저소득층 선발인원 확대 file NCIL 2016.01.05 1383
242 중증장애인 주민등록증 발급 기간 열흘내로 단축 file NCIL 2016.01.05 1338
241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 농성 1239일째 무지 춥답니다. 2 file 어깨꿈 2016.01.11 1277
240 장애인문예센터 ‘이음’, 대학로에 개관한다 file NCIL 2016.01.05 1218
239 [해외복지] 영국 장애인연금 무너졌다 1 노들센터 2016.03.17 1185
238 장애인고용공단, '여성장애인 수술 지원금' 전달 file NCIL 2016.01.05 1173
237 건보공단, 모바일 수화 상담 서비스 시작 file NCIL 2016.01.05 1148
236 [채용정보] 종로구청 일자리경제과_ 2017년 롯데글로벌로지스(주) 고객콜센터 재택근무 상담원 채용 안내 file 노들센터 2017.07.14 1117
235 20대 총선, 불편한 장애인 기표대·사전투표소 접근성 개선된다 아기예수 2016.02.27 9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